|
|
|
고려말 元代 간화선 수용과 그 사상적 영향=Acceptance of KouanZen of the Yuan dynasty at the end of Goryeo and its ideological influence -laying stress on Mongsan(蒙山) and Gobong(高峰) |
|
|
|
Author |
조명제 (著)=Cho, Myung-je (au.)
|
Source |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
Volume | v.23 n.0 |
Date | 2005 |
Pages | 137 - 178 |
Publisher | 普照思想研究院 |
Location | Korea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京都大學 대학원 문학연구과 외국인공동연구자 |
Keyword | 간화선; 몽산법어; 선요; 나옹; 보우; 선종 절대화의 경향 |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4 II. 원대 선종계의 동향과 간화산의 전개 양상 5 III. 고려와 원의 불교 교류와 원대 간화선의 사상적 영향 22 IV. 맺음말 39
|
ISSN | 12297968 (P) |
Hits | 162 |
Created date | 2023.02.26 |
Modified date | 2023.02.26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