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구사론』 <계품>의 무표색 해석에 관한 고찰 - 『구사론』 삼대소 주석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Vijñapti-rūpa Interpretation of The Dhātus(CHAPTER ONE) of Abhidharmakośabhāṣya - with a Focus on The Three Annotations for Abhidharmakośabhāṣya
Author 김남수 (著)=Kim, Nam-soo (au.)
Source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Volumev.38 n.0
Date2022.12
Pages107 - 144
Publisher韓國淨土協會
Publisher Url http://www.jungtohak.or.kr/
LocationSeoul, Korea [首爾,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박사수료
Keyword구사론=Abhidharmakośabhāṣya; 색법; 무표; 무표색; 태소=Taishu=泰疏; 광기=Guangji=光記; 보소=Baoshu=寶疏; 과문=Gwamun=科文; Avijñapti-rūpa; Rūpa
Abstract설일체유부는 모든 존재를 5위75법으로 나눈다. 이 가운데 물질을 총칭하는 색법은 5근, 5경, 무표색(無表色)의 11종으로 분류한다. 유부에서 색법인 물질은 변애(變礙)를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무표색은 색법의 범주에 속하지만 변애성을 지니지 않는다. 『구사론』의 「계품」에서는 이러한 무표색과 변애성의 논란에 대해 대론(對論)의 방식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한역 『구사론(俱舍論)』에서 대론을 따라가며 이해하는 작업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난해한 논서의 이해를 위해서는 권위 있는 주석서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수이다. 전통적으로 『구사론』에 대한 권위 있는 주석서는 『구사론』의 3대소(三大疏) 혹은 3소(三疏)라 불리는 『태소(泰疏)』, 『광기(光記)』, 『보소(寶疏)』 등이다. 이 3소는 각각의 견해로 본문의 구조와 내용을 분류하여 해석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3소에서 밝힌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여 『구사론』 「계품」의 ‘무표색의 변애성 해석’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했다. 먼저 3소에서 설명하는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사는 표색에 변애가 있기 때문에 무표도 색이라 한다. 둘째 논사는 소의인 4대종(大種)에 변애가 있기 때문에 무표도 색이라 한다. 이 논사는 4대종이 무표의 직접적인 근거가 됨에 주안점을 둔다. 셋째 논사 역시 소의(所依)인 4대종에 변애가 있음을 근거로 한다. 이 논사는 무표의 소의인 대종에는 변애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데 주안점을 둔다. 이를 통해 둘째 논사가 야기한 ‘5식(識)과 5근에 의한 반론’을 차단하며, 결론적으로 무표는 변애하는 소의인 4대종을 따라 색이라 할 수 있음을 밝힌다. 『구사론』을 비롯한 아비달마 계통의 논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이해하기 어려운 영역이 되었다. 권위 있는 주석은 그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특히 『구사론』의 3소는 역자(譯者)의 친전(親傳) 제자들의 주석이기에 그 신뢰성이 높다. 『구사론』의 한문 주석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현실을 고려할 때, 무표와 변애의 문제를 3대소의 주석을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이번 시도는 부족하나마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Sarvastivada cagorize all beings into Five-unit and Seventy five-dharma. Among them, rūpa, which collectively refers to substances, is further categorized into 11 groups: five sense organs, Five objects, and avijñapti-rūpa. In Sarvastivada, a substance that is catergorized under rūpa has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However, even though avijñapti-rūpa belongs to the category of rūpa, it does not have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The Dhātus(CHAPTER ONE) of Abhidharmakośabhāṣya explains the controversy of avijñapti-rūpa and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in a form of debate. Nonetheless,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contents in the original text of Abhidharmakośabhāṣya.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nts in the esoteric debate, one must refer to authoritative annotations. Traditionally, the authoritative annotations of Abhidharmakośabhāṣya include Taishu(泰疏), Guangji(光記), and Baoshu(寶疏), called The Three Annotations of Abhidharmakośabhāṣya. This Three Annotations classifies and interprets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text from their perspectives.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guidance in understanding the interpretation of avijñapti-rūpa and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in The Dhātus(CHAPTER ONE) of Abhidharmakośabhāṣya through the structure and content analysis revealed in The Three Annotations. Summarizing the perspectives in The Three Annotations, The first ābhidhārmika claims avijñapti-rūpa is also rūpa because vijñapti-rūpa has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The second ābhidhārmika argues that avijñapti-rūpa is also rūpa because mahābhūta, which is the basis of avijñapti-rūpa, has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This ābhidhārmika focuses on the fact that avijñapti-rūpa is directly dependent on mahābhūta. The perspective of the third ābhidhārmika is also based on the fact that mahābhūta has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This ābhidhārmika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must exist in mahābhūta, the basis of avijñapti-rūpa. This approach counters the ‘argument by the five consciousnesses and the five sense organs’ of the second ābhidhārmika, and in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avijñapti-rūpa can be classified as rūpa because its basis has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Understanding Chinese translations of abhidharma-piṭaka, including Abhidharmakośabhāṣya, is becoming a difficult area over time. Authoritative annotations are very helpful in overcoming these difficulties. In particular, The writer of The Three Annotations for Abhidharmakośabhāṣya studied under the original translator of Abhidharmakośabhāṣya, so it is recognized to be more credible.
Table of contentsI. 머리말 109

II. 『구사론』 「계품」의 무표색 해석 112
1. 무표색과 변애의 문제 112
2. 『구사론』 「계품」의 무표와 변애 문제 113
III. 대론에 대한 삼대소의 구조 분석 119
1. 삼대소의 문단 구조 분석 119
2. 삼대소 과문 비교와 그 특징 127
IV. 대론에 대한 삼대소의 내용 해설 129
1. 삼대소의 내용 해설 129
2. 삼대소의 해설 비교와 그 특징 136
V. 맺음말 138
ISSN12291846 (P)
DOIhttp://doi.org/10.35299/jungto.2022..38.004
Hits528
Created date2023.03.21
Modified date2023.03.21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67159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