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화엄사사적(華嚴寺事蹟)』 창건기록의 타당성 분석 - 황룡사를 통한 자장(慈藏)의 영향 가능성을 중심으로=Veracity Analysis of the Founding Records in 『Hwaeomsa Sajeok(華嚴寺事蹟)』 -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the Jajang(慈藏)’s influence through Hwangnyeongsa Temple
Author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Source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Volumev.34 n.0
Date2020.12
Pages9 - 46
Publisher韓國淨土協會
Publisher Url http://www.jungtohak.or.kr/
LocationSeoul, Korea [首爾,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중앙승가대 교수.
Keyword中觀海眼=Junggwan Haean; 緣起=Yeongi; 華嚴寺=Hwaeomsa; 道詵=Doseon; 義相=Euisang; 觀惠=Gwanhye; 華嚴宗=Hwaeomjong
Abstract왜란(倭亂)의 병화(兵火)로 소실된 화엄사는 1630년 중관해안(中觀海眼)에게 『화엄사사적』의 편찬을 요청한다. 이 책은 1636년 완성된다. 그런데 중관(中觀)은 『화엄사사적』의 편찬에서, 당시 화엄사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을 매우 혼란스럽게 기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후 ‘창건자인 연기(烟起)의 연대’와 ‘화엄사의 개창(開創) 연대’ 등 다양한 문제들이 파생된다. 그러던 것이 1978년 〈백지묵서화엄경(白紙墨書華嚴經)〉이 발견되면서 창건자와 개창 문제가 일단락된다. 본고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기가 8C 황룡사에 존재했던 자장계통의 화엄사상을 전지한 인물임을 밝혀보았다. 이를 통해 『화엄사사적』에서, 화엄사와 관련해 자장이 요청되는 이유를 판단해 볼 수 있게 된다. 또 『화엄사사적』에서 강조되는 도선(道詵)에 대한 측면도 아울러 정리하였다. 이상을 통해, 『화엄사사적』에서 가장 문제 있는 기록인 자장과 도선의 문제가 일정 부분 해소된다. 또 최초로 자장계통의 화엄사상이 8C 황룡사에 존재했다는 점을 제기했다. 이는 의상계통과는 다른 화엄사상에 대한 정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 이러한 자장계통과 의상계통이 화엄사에서 시대에 따라 경쟁하고 충돌했다는 점도 밝혀보았다.

Restoring the buildings which were burned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Imjin year, Hwaeomsa Temple asked Junggwan Haean(中觀海眼) to compile 『Hwaeomsa Sajeok (History of Hwaeomsa)』 in 1630. This book was completed in 1636. By the way, while compiling the history book, Junggwan recorded diverse stories being told about Hwaeomsa at that time very confusingly. This has resulted in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date of founder Yeongi(烟起),” and “the foundation date of Hwaeomsa Temple.” However, with the discovery of 〈Baekji Mukseo Hwaeomgyeong(白紙墨書華嚴經)〉 in 1978, the issue of the founder and foundation date was ended. Thus, the problem of Jajang and Doseon, which was the most problematic record in 『Hwaeomsa Sajeok』, was partially resolved. In addition, it show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 Hwaeom ideology of Jajang line existed in Hwangnyongsa Temple in 8C. This is notable in that it was a comment on the Hwaeom ideology different from Euisang line. It also revealed that these Jajang and Euisang lines had competed and clashed at Hwaeomsa Temple over time.
Table of contentsI. 서론11

II. 화엄사사적의 문제점과 주목할 점 12
1. 화엄사의 위상과 왜란 속의 전소(全燒) 12
2. 화엄사사적의 찬술과 문제점 15

3. 화엄사사적에서 주목할 점 21
III. 자장의 화엄과 황룡사의 연기(緣起) 29
1. 자장의 화엄 전래와 황룡사 29

2. 연기의 자장계 가능성 검토 34
IV. 결론 40
ISSN12291846 (P)
DOIhttp://doi.org/10.35299/jungto.2020..34.001
Hits98
Created date2023.03.22
Modified date2023.03.22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67239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