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나가르주나와 서양철학의 이해 ; 플라톤의 덕(dρετη)론과 용수의 공의 윤리학=Plato`s discourse on virtues and Nagarjuna`s ethics from perspective of emptiness
Author 조해정 (著)=Jo, Hae-jeong (au.)
Source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Volumev.8 n.0
Date2011.12
Pages3 - 43
Publisher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Publisher Url http://www.easternasia.kr/
LocationBusan, Korea [釜山,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부산대학교 철학과
Keyword용수=Nagarjuna; 소크라테스; 플라톤; 윤리(학)=ethics; 공=sunya; 덕=virtue=αρετη; intercultural-philosophy; 상호문화철학; Plato; Socrates; emptiness; dρετη
Abstract윤리학에서 지(知)와 행(行)의 관계를 어떻게 보는가는 중요한 문제 다. 윤리학의 지식은 ‘삶의 방식’에 관련되기 때문이다. 플라톤과 용수의 윤리학은 지와 행이 일치되는 ‘지행합일’의 입장에서 전개된다. 이로부 터 두 사람의 윤리학에 대하여 상호문화철학적 읽기를 시도하였다.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저작에서 지행합일의 이상적 모델로 등장한 다. 그는 ‘세상에서 가장 현명한 자’라는 신탁을 받을 정도로 ‘지혜로운 자’이지만, 스스로는 ‘무지자’를 자처하면서 아테네 시민들의 무지를 일 깨우는 것을 ‘소명’으로 삼는다. 여기서 ‘지식’은 삶의 방식에 관한 지식, 즉 덕(a)reth/)에 관한 지식이다. 플라톤 윤리학에서 덕 그 자체의 지식 에 도달한 사람의 영혼은 온갖 욕망과 무지로부터 완전히 정화되어 순 수한선의상태, 즉덕그자체와일치하는상태로된다. 그리고이러한 영혼의 상태에 도달한 사람이 ‘지혜로운 자’이며, 철학자란 바로 이러한 지혜를 추구하는 사람이다.
다른 한편 번뇌에서 벗어나 지혜의 성취를 목표로 하는 불교 윤리의 이상은 마음의 내적 상태의 전환에 의거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지행합일을 넘어 인식과 존재의 일치의 관점에 입각해 있다. 용수는 이러한 기본 입장을 계승한 위에서 공(空의) 관점에 의해서 재해석한다. 용수 윤리학에서 모든 번뇌와 무지는 희론(戱論)으로 되고, 희론은 ‘공성(空 性)’에 의해서 적멸(寂滅)되므로, 그에게 최고의 지식이란 공성의 성취 에 다름 아니다. 희론이 적멸된 공성의 상태는 ‘나와 나의 것’이라는 모 든 분별과 욕망이 사라진 비움의 상태다. 희론이라는 분별이 사라지면 너와 나라는 경계를 초월하므로 용수는 ‘세속과 열반이 하나’라고 하였 다. 이로부터내적전환을이루기위한지혜의추구와사회적실천이원 리적으로 통일된다.
상호문화철학적 읽기에서 지행합일의 윤리적 목표는 두 사람의 상호 문화적 겹침의 첫 번째 장소가 된다. 그리고 지혜가 욕망과 이기심으로 부터 자유로운 영혼의 순수한 정화 상태이자 선을 실천할 수 있는 내적 능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도 겹친다. 또한 지혜에 장애가 되는 용수의 희론이 몸으로부터 기인하는 온갖 욕망과 착각, 무지를 포함한다는 점 에서, 플라톤의 욕망과 속견, 무지의 상태와 상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호문화적 읽기는 진행될수록 각각의 내면을 풍부하게 하면서 겹침 또 한 더욱 중첩되는 것을, 그래서 전통은 있으되, 소통되는 경계의 지점도 다양화하는 것을 지향한다. 중요한 것은 각각의 내부를 풍부하게 하면 서도 겹침 또한 더욱 중첩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에 있을 것이다.

It is very important theme in the realm of ethics how we see th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deed because the knowledge of ethical issues focuses 'how to live'. Plato and Nāgārjuna have a common ground in that there is no division between knowledge and deed on ethical issues. In this paper, I will try to read their ethics from intercultural-philosophical perspective.
Socrates is an ideal model whose action is coincided with knowledge in PLato's works. He claimed that he was an ignorant man, although he was acknowledged by a by a priestess of temple as the most wise man in Athens and he strongly believed his mission was to let Athenians to recognize their own ignorance. The knowledge is 'how to live' or the knowing of virtue(a)reth/) itself. The state of a soul, freed from desires and ignorances, purified and reached to the virtue itself, is coincided with virtue itself. These men and women are 'the wise', and also philosophers are those who pursuit the very wisdom.
While the ideal of buddhist ethics, is to be freed from desires and passions and aims at realizing wisdom, it is based on revolutionizing inner state of the mind. For this reason, buddhist ethics is beyond the coincidence with knowledge and deed, and extends itself to the perspective of unified recognition and being. Nāgārjuna reinterpretates the view of buddhist ethics with emptiness(śūnya). All of the passions and ignorances are the images of the language(戱論, prapañca) and they are destructed by emptiness in Nāgārjuna's ethics. According to him, the best knowledge is nothing but an achievement of the emptiness. It is not only a void state to extinguish all of languages, but also an absent state which absolutely extinguishes discrimination of me and mine from objects and passions. Nāgārjuna says that the mundane world and nirvana are one because if there is no discrimination of language, there is no discrimination of me or myself and others. Therefore, according to him, it is united by principle which achieves inner revolu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knowledge and social practice.
According to my intercultural-philosophical reading, the first place of overlapping is the ethical aim which is coincided with the knowledge and deed. And there is an overlapping point as well in that wisdom or the best knowledge is a purified soul free from all of desires and selfishness as well as an inner ability to do goodness. Futhermore Nāgārjuna's view of language(prapañca), an obstacle to wisdom, overlaps with Plato's desires, opinions(do/ca) and ignorance-oriented body, because his view includes all of desires and illusions and ignorances, too. So the more intercultural-philosophical reading proceeds, the m
Table of contents1. 여는 말 4
2. 플라톤의 덕(a)reth/)6)론 7
3. 용수의 공의 윤리학 19
4. 상호문화철학적 읽기 32
5. 닫는 말 35
ISSN27140938 (P); 27140946 (E)
Hits108
Created date2023.08.20
Modified date2023.08.20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80210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