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니야야 학파의 인식수단과 인식결과에 대한 지넨드라붓디의 검증=Buddhist examination of Nyāya’s pramāṇa and phala in Pramāṇasamuccayaṭīkā 112.12-117.4
Author 박기열 (著)=Park, Ki-Yeal (au.)
Source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Volumen.52
Date2018
Pages75 - 110
Publisher印度哲學會
Publisher Url http://krindology.com/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Keyword인식수단; 인식결과; 한정수단의 지식; 한정대상의 지식; 능변의 모순; 모순하는 소변; 귀류환원법; 반소증거척법; pramāṇa; phala; viśeṣaṇa-jñānaṃ; viśeṣya-jñānaṃ; viruddha-vyāpta; prasaṅga-viparyaya; sādhyaviparyate-bādhakapramāṇa; vyāpaka-viruddha
Abstract본고는 디그나가의 『집량론・자주』(PSV Ⅰ) 「직접지각」장: kk. 19c-20에 상당하는 지넨드라붓디의 『집량론・복주』(PSṬ): pp. 112.12~117.4)에 대한 번역 및 분석이다. 서론에서는 본고의 이해를 돕기 위해 PSV 해당 개소의 번역과 개요를 서술하였다. 내용은 PSV Ⅰ중에서 니야야 학파의 지각의 정의에 대한 검증 중에 후반부, 인식수단과 인식결과에 대한 디그나가의 검정과 지넨드라붓디의 주석이다. 니야야 학파는 인식수단과 인식결과는 상이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디그나가는 그 두 가지의 인식요소들이 서로 다르다고 한다면, 각각은 서로 다른 인식대상을 가져야만 하지만, 그것은 실질적으로 모순이라는 취지 아래, 니야야 학파의 반론들을 차례차례 논파해 나간다. PSṬ에서는 PSV에 대한 주석 이외에 지넨드라붓디의 독자적인 해설과 논증식이 보인다. 파니니 문법에 기반한 구문 분석과 다르마키르티의 변충의 일종인 비존재(=비인식)를 증인으로 내세워 귀류환원법과 반소증거척법을 이용하여 불교 측의 주장을 입증하는 동시에 니야야 학파의 주장을 거척한다. 결론적으로 디그나가의 주장과 지넨드라붓디의 주석은 어떤 하나의 인식대상을 기반으로 한 인식수단과 인식결과의 동일성, 즉 자기인식설을 입증하고 있다.

This research is translation in Korean and the analysis on Jinendrabuddhi’s Pramāṇasamuccayaṭīkā (PSṬ) Ⅰ 112.12-117.4, commenting to Dignāga’s Pramāṇasamuccaya (PSV) Ⅰ kk. 19c-20 and svavṛtti. The PSV is translated in Introduction to help to understand Jinenedrabuddhi’s point in the body of the paper. The contents of the paper are on examination of the means of cognition(pramāṇa) and result(phala) of Nyāya school in PSV Ⅰ and Jinendrabuddhi’s comments. Nyāya school insists the result of cognition is different from the means of cognition. Dignāga says, however, if the two elements of cognition were separated each other, they should have different objects of cognitions, but it is contradictory against the real cognitive. He disputes in turn the objections of Nyāya school. In PSṬ, there are some Jinenedrabuddhi’s own line of explanation and syllogism besides the comment to Dignāga’s words or compounds. Jinendrabuddhi excludes Nyāya’s objections and proves Buddhist position through analyzing syntaxes based on Pāṇini and using prasaṅgaviparyaya or sādhyaviparyate bādhakapramāṇa including reason(hetu) with vyāpakaviruddha or viruddhavyāpta, a kind of anupalabuddhi-s in Dharmkīrti’s anumāna theory. In the final analysis of Dignāga and Jinendrabuddhi, they establish the theory of self-awareness(svādhigama, svasaṃvitti) based on whether the means of cognition and its result have the same object of cognition or not.
Table of contentsI 서론. 76
II 인식결과 부재(不在) 검증. 81
III 인식수단과 결과에 있어 대상의 상이성 검증. 84
IV 한정수단의 지식의 과대적용 검증. 90
V 한정대상의 지식의 자기모순 검증. 98
VI 인식결과로서의 비존재 검증. 100
VII 결론.105
ISSN12263230 (P)
Hits20
Created date2023.10.28
Modified date2023.10.28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85295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