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자이나교 요가 명상의 현대적 발전__프레크샤(Prekṣā) 명상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Modern Development of Jain Yoga and Meditation: Focusing on Prekṣā meditation
Author 양영순 (著)=Yang, Young-sun (au.)
Source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Volumen.56
Date2019
Pages269 - 309
Publisher印度哲學會
Publisher Url http://krindology.com/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철학박사
Keyword프레크샤 명상=Prekṣā meditation; prekṣā dhyāna; 자이나교 수행=Jain meditation; 요가; 명상; 카욧사르가= Kayotsarga; Terapāntha; 테라판타= Terāpantha; Jain yoga; Jain practice
Abstract본 연구는 인도의 가장 오래된 종교인 자이나교가 세계화된 현대에 어떻게 대응하고 변모하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논문의 Ⅱ장에서는 자이나 역사상 최초로 서구에 자이나 명상을 전파한 치트라바누와 기타 지도자들의 활동을 소개하였다. 그중에서도 백의파 테라판타派에서는 동시대 불교의 위빠사나 명상과 힌두 요가뿐 아니라 현대 과학적 접근을 종합하여 지난 30년간 계발한 프레크샤 명상을 제시했다. 이는 종교의 가치가 변혁을 통해서 비로소 생생하게 계승된다는 역사적 과제의 성취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본 논문의 Ⅲ장 2절과 Ⅳ장에서는 프레크샤 명상의 실제 수행 체계를 전통적 수행 및 타 종교적 요소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프레크샤 명상이 변혁을 통해 계승하고자 한 자이나 수행의 목적과 가치를 주목하였다. 프레크샤 명상의 체계는 本명상(8지)과 프레크샤 요가(4지)및 특수 명상(4지)으로 구성되는데, 전체적으로 전통적인 자이나 특유의 명상법인 카욧사르가, 레쉬야(영적 색채)의 지각, 영혼과 물질의 분리 및 상호작용에 입각한 미세신체 지각법등이 명상 전체에 융합되어 있다. 무엇보다 프레크샤 명상에는 자이나교의 전통에서 일체지(一切知)와 함께 줄곧 강조되어왔던 순수영혼의 자증(自證)적인 자각 즉, ‘자기인식(svasaṃvedana)’을 목표로 모든 명상이 종합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대 타 종교에 비해 그 수행전통과 현 활동이 잘 알려지지 않은 자이나교 요가 명상의 중요한 활동 및 내용을 국내에 소개한 것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began with an interest in how India's oldest religion, Jainism, responds to and transforms this global world. Chapter 2 of this paper introduced the activities of Chitravanu and other Jain Gurus who spread Jaina practice to the West for the first time in Jain history. Among them, the Śvetāmbara's Terāpantha presented the Prekṣā meditation, which was developed over 30 years by combining contemporary Buddhism's Vipassana meditation and Hindu yoga as well as modern scientific approaches. This exemplifies the achievement of a historical task in which religious values are inherited vividly only through transformation. This paper compared the actual practice system of Prekṣā meditation with traditional practice and other religious factors in general, and finally noted the purpose and value of that Prekṣā meditation intended to inherit through transformation. The system of Prekṣā meditation consists of main meditation(8kinds), Prekṣā Yoga(4 kinds) and special meditation(4 kinds). Overall, traditional Jainism meditation is well integrated. Kāyotsarga, Leśyā dhyāna, the meditation of separation and interaction of soul and matter, and so on. Above all, in Prekṣā meditation all meditation is structured with the goal of pure soul's self-awareness, which has always been emphasized in the tradition of Jainism.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it introduces the important activities of Jainism Yoga and meditation, which is not well-introduced compared to other religions of the same period.
Table of contentsI 자이나교에 요가 명상이 있는가? 270
II 현대 자이나교의 요가 및 명상. 273
III 백의파의 프레크샤(Prekṣā) 명상. 278
IV 변혁과 계승 295
ISSN12263230 (P)
DOI10.32761/kjip.2019..56.008
Hits46
Created date2023.10.28
Modified date2023.10.28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85336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