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유식학파의 실재ㆍ형상ㆍ존재에 관한 논리학적 논증=The Inductiv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Reality (vastu), Appearance (ākāra), and Being (bhāva) in Yogācāra school
Author 박기열 (著)=Park, Ki-Yeal (au.)
Source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Volumen.64
Date2022
Pages139 - 165
Publisher印度哲學會
Publisher Url http://krindology.com/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인도철학·불교학연구소 연구교수
Keyword환술= illusion; 코끼리; 비유; 존재; 인식; 승의제; 세속제; paramārthasatya saṃvṛtisatya; bhāva upalabdhi; simile; elephant
Abstract유식학파는 경험적, 귀납적 방법으로 외계 존재가 없이 인식만으로도 현상세계의 존재가 충분히 설명된다고 실재론자들을 설득해 왔다. 그 설득 수단의 대표적인 것이 비유(upamā)이다. 즉 그들은 일상에서 경험 가능한 구체적 사례들을 자기주장에 관한 비유로 사용하여 상대방의 이해를 도모한다. 본고는 『대승장엄경론』의 팔유(八喩)를 유식학파의 대표적 비유의 사례로서 소개한다. 그중에서 환술에 의해서 코끼리가 현현하는 비유에 관해서 법칭의 『양평석』, 세친의 『삼성론』, 『대승장엄경론』에서의 해석의 차이를 고찰한다. 나아가 각 논서가 환술의 비유를 통해서 유식학파의 형상, 실재, 존재를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불교논리학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양평석』의 ‘환술에 의한 코끼리의 현현’에 관한 비유는 논증식의 긍정적 비유와 부정적 비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삼성론』의 해당 개소는 삼성의 입장에서 서술된 점에 주목하고, 원성실, 의타기, 변계소집의 연기적 구조을 통하여 실재, 형상, 존재의 관계성을 살펴본다. 『대승장엄경론』의 해당 개소는 이제설에 기반한 실재성과 비실재성의 이중적 함의, 즉 존재와 인식의 동일성을 다룬다. 환술에 의한 코끼리의 비유를 통해서 결론적으로 유식학파는 현상세계를 무조건적으로 부정하지 않는다. 그들은 현상세계의 실재성과 비실재성을 모두 긍정하는 동시에 부정한다. 나아가 실재인 것과 같이 보이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비실재에 불과하다는 유식철학의 본연의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그들은 오히려 비실재의 실재성을 역설한다.

Yogācāra school persuades realists that beings in the phenomenal world can be explained enough without the external beings through the inductive standpoint. One of the persuasive ways is a simile to express experiential phenomena or objects by taken as an example to support the school's proposition in the argument. The paper reviews the eight examples described in the 11th chapter of Mahāyānasūtrālaṃkāra (MSA), and analyzes the example of an elephant by illusion in the perception chapter of Pramāṇavārttika (PV), Trisvabhāvanirdeśa (TSN) and MSA Ⅺ to figure out the epistemic implication relating to the conception of vastu, ākāra, bhāva from the view of Buddhist logic. The paper considers in detail the elephant caused by illusion in PV Ⅲ 354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analyzing it with the role of sapakṣa and vipakṣa of syllogism. I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example in the passage of TSN is described from the view of trisvabhāva, and examine the relation of dependent arising (pratītyasamutpāda) among the three svabhāva-s. The passage of MSA is noticeable to characterize the example as two truths. Both of all have the meaning of reality and unreality, but also the identity between being (bhāva) and perception (upalbdhi). Yogācāra school does not only deny the external world, but emphasizes the reality and unreality of the world at the same time, and brings a focus to explain why the outsides are not real with the actual example.
Table of contentsI 서론. 140
II 형상과 존재에 대한 비유. 142
III 환술의 비유에 함의된 실재・형상・존재. 147
IV 결론. 159
ISSN12263230 (P)
Hits20
Created date2023.10.29
Modified date2023.10.29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85421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