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정영사 혜원 『대승기신론의소』의 내용과 특징 - 정영소의 진찬문제에 대한 선행연구의 논의 정리와 평가를 겸하여=Some remarks of the Jingying Huiyuan's Commentary of the Awakening the Mahāyāna Faith
Author 이상민 (著)=Lee, Sang-min (au.)
Source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Volumev.6 n.0
Date2020.04
Pages5 - 38
Publisher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Publisher Url http://www.duwbsi.or.kr
LocationSeoul, Korea [首爾,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고려대학교 강사






KeywordKāya-traya; The Two Hindrances; Dilun School=지론종; Jingyingshu; Jingying Huiyan; 삼신설; 이장의; 대승기신론의소; 정영사 혜원
Abstract본고는 정영사 혜원(淨影寺 慧遠, 523-592) 찬으로 전하는 『대승기신론 의소(大乘起信論義疏)』 (이하 “정영소”로 약칭)의 진찬문제에 대한 몇 가지 내용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영소는 지속적으로 위찬 논란이 있었는데 그 근거 중 하나는 정영 사 혜원의 여타 저작과는 다르게 4자구로 정리되지 않은 문장형식 이었다. 그러나 돈황사본을 통해 밝혀진 것처럼 후대에 잘 정리된 정영사 혜원의 글이라도 최초의 형태는 동일한 문제를 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정영소는 『기신론』의 귀경게를 해석하며 법신, 보신, 응신을 각각 체, 상, 용에 대응시키고 있다. 이러한 해석 방식은 『기신론』 자체의 사상이라기보다는 지론학파의 해석이며 정영소의 저자가 『기신론』 보다 지론학파의 교학에 익숙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3) 정영소는 『기신론』의 번뇌설인 여섯 가지 염심(=번뇌장)과 무명(=지장)을 주석하면서 『대승의장』 「이장의」를 장문으로 인용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용 주석이 아무런 의미도 없으며 그 판단에도 오류가 있다고 하였지만, 논자가 확인한 한 「이장의」의 해석은 정영소가 취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선택이었다. 따라서 정영소는 정영사 혜원의 단독 저작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적어도 어느 수준까지는 정영사 혜원의 지도 내지는 사상적 영향 아래에서 찬술된 문헌, 즉 지론학파의 집단 저작 중 하나로 결론내릴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authorship and the significant features of the Commentary of the Awakening the Mahāyāna Faith which is attributed to the renowned Dilun master Jingying Huiyan(523-592) (henceforth “Jingyingshu”),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uthorship of the Jingyingshu has been controversial for several Centuries. One of the clues of the forgery is its writing style. Unlike other works of Jingying Huiyuan, the Jingyingshu contains unpolished sentences throughout the text. However, I argue that it is not so much a question since the early version of Jingying Huiyuan’s writings shows the same problem as well. 2) The Jingyingshu interprets the term Kāya-traya thor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Ti(體), Xiang(相) and Yong(用). These three terms are identified with the Dharmakāya, the Saṃbhogakāya and the Nirmāṇakāya respectively. This way of interpretation is the original scheme of the Dilun School. 3) The Jingyingshu quotes his another writing “The Meaning of the Two Hindrances(二障義)” in almost full length when explaining the defilement theory of the Awakening the Mahāyāna Faith. The previous research asserted that this quotation shows no consistency and pointed it as the decisive evidence of the apocryphalness of the Jingyingshu. However, as far as I can see, the Jingyingshu choose the most relevant analytics on the matter. In conclusion, the Jingyingshu can be regarded as a commentary written under the doctrinal influence of the Jingying Huiyan, if not composed by himself.
Table of contentsⅠ. 들어가며 7

Ⅱ. 『정영소』 위작 논쟁에 대한 개관 8

Ⅲ. 위작논란의 논점 재검토 12

Ⅳ. 나가며 32
ISSN25863843 (P)
Hits25
Created date2024.01.07
Modified date2024.01.07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90807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