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중국초기불교의 佛性사상 -- 『大般涅槃經集解』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Buddha-nature” in the Collection of Commentaries on the Mahāparinirvāṇa Sūtra
著者 하유진=Ha, Eu-gene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33
出版年月日2012.12
ページ45 - 75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注記
キーワード佛性=Buddha-nature; 涅槃=Nirvana; 道生; 因果=Causal Interpretation; 正因; Chinese Buddhism; Buddha
抄録불성사상은 초기 중국불교의 역사적 전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개념이다. 晋宋 교체기에 이르러 중국불교의 사상적 관심은 『般若經』 중심의 般若中觀學에서 『涅槃經』 중심의 涅槃佛性論으로 전환하였으며, 이후 불성에 대한 논의는 자연히 어떻게 성불할 것인가의 실천수행론과 맞물려 전개되었다. 구체적인 수행방법에 대한 논의에 앞서 먼저 성불론의 이론적 토대로서 불성의 근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涅槃經』에 대한 南朝 시대 涅槃師들의 주석 모음집인 『大般涅槃經集解』에서는 佛性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涅槃經』 및『 集解』는 중국불교 초기의 佛性사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涅槃經』에서는 성불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의 일환으로 불성에 대한 因果적 해석이 전개되었으며, 불성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因, 因因, 果, 果果의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集解』에서는 불성을 두 종류의 因으로써 설명하였는데, 正因과 緣因, 生因과 了因, 正因 과 了因, 緣因과 了因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正因과 緣因이 2종 因의 기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正因佛性과 緣因佛性을 중심으로 『集解』에 나타난 열반사들의 불성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idea of Buddha-nature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arly Chinese Buddhism. During the early years of 5thcentury, the doctrinal interest of Chinese Buddhism moved from the study of the notions of Prajñāand Mādhyamaka to the study of those of nirvana and Buddha-nature,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s on Buddha-nature becoming involved accordingly into the theory of actual practice in relation with the problem of how to become a Buddha. Prior to the discussion on the method of particular practice, however, there first developed a lively discussion on the basis of becoming a Buddha, as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becoming a Buddha. In the Mahāparinirvāṇa Sūtra , there arose a causal interpretation on Buddha-nature as a way of discussing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Buddha. From such a causal interpretation on Buddha-nature, there developed the thought of taking refuge in the Three Jewels within each of us. The above discussion on Buddha-nature in early Chinese Buddhism directly influenced the studies of the Three Treatises, the Treatise on the Ten Stages Sutra (the Daśabhūmikasūtra-śāstra) , and the Huayan Thoughts, constructing an important the oretical foundation for the subsequent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thoughts of the Tiantai and Chan Schools that emphasize actual practice.
目次1. 들어가며 48
2. 『涅槃經』과 道生 佛性義 51
3. 道生의 當果佛性論: 本有說 56
4. 佛性에 대한 因果적 해석:因,因因,果,果果 61
5. 나가는 말 70
ISSN15980642 (P)
ヒット数184
作成日2021.05.28
更新日期2021.05.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564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