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신화엄경론』에 나타난 이통현의 『화엄경』 해석의 특징 -- 중국 고유사상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Li Tongxuan’s Explication of the Avataṃsaka-sūtra in the Xin huayan jing lun ―Focusing on Its Association with the Indegenous Chinese Thought
著者 고승학 (著)=Koh, Seung-hak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34
出版年月日2013.03
ページ114 - 145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注記
キーワード이통현=Li Tongxuan; 일진법계=one true dharma realm; 『화엄경』=Avataṃsaka-sūtra; 『신화엄경론』=Xin huayan jing lun; 『주역』=Book of Changes; 음양오행=yin-yang and five phases; 상관적 사고=correlative thinking
抄録당 초기의 거사이자 화엄 사상가인 이통현(635~730)은 『화엄경』을 중생의 세계와 부처의 세계에 아무런 구별이 없다는 ‘일진법계’(一眞法界) 개념에 입각하여 해설하였다. 특히 그는 『화엄경』「여래명호품」에 등장하는 보살들이 특정한 방위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중국 고유의 사상 체계인 『주역』과 음양오행설을 통해 해명하고자 하였다. 일진법계 개념을 통해 성스러움과 속됨의 경계를 소멸한 그로서는 이 경전을 중국의 사상과 언어로 해설하는 것에 큰 무리를 느끼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경전 해설 방식은 한 개념을 그와 연관된 다른 개념을 통해 이해하는 ‘상관적 사고’의 전형적인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그는 동방 금색세계로부터 부동지불이 왔다는 구절을 오행중의 금의 생장·소멸의 도식을 통해 설명하고, 문수사리와 보현보살이 각각 동자와 장자로 불리는 것에 대해서는 그들의 거처인 동북방과 동방의 괘인 간괘와 진괘에 내포된 의미에 주목함으로써 해명하였다. 그는 또한 남쪽에 대해서는 그 방위와 관련된 괘인 리괘의 ‘비어있음’의 의미에 주목하여 공(空)에 대한 인식에 연관시키고, 동남쪽에 대해서도 역시 그 방위와 연관된 손괘가 상징하는 ‘언어’, ‘바람’등의 의미에 착안하여 그것이 언설에 의한 교화를 나타낸다고 해설한다.
그런데 우리는 여기에서 그의 『화엄경』 해석이 중국 고유사상에 의존하는 한편으로, 10방위를 순서대로 불교의 실천 덕목인 십바라밀과 대응시킨 점에 주의해야 한다. 그는 이들 방위들을 십신으로부터 불지(佛地)에 이르는 수행의 단계들과 연관시키기도 하였다. 이것은 그가 ‘세간의 철학’을 통해 수행자들이 세속적 삶에 매몰되지 않고 보다 높은 종교적 가치를 추구하도록 유도하였음을 의미한다. 그의 이러한 경전 해석 방식은 중생의 실존적 토대를 깨달음의 장(場)으로 간주한 그의 일진법계 개념과 통한다고 할 수 있다.

Li Tongxuan (635-730), a lay Buddhist thinker in the early Tang period, explicated the Avataṃsaka-sūtra on the basis of his thesis of one true dharma realm (一眞法界), which denies any discrimination between the realm of sentient beings and that of the Buddha. He paid a special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bodhisattvas appearing in the chapter “Names of the Tathāgatas” of the Avataṃsaka-sūtra are associated with specific directions. He provided an explanation of the correlation by referring to the Book of Changes and the yin-yang and five phases theory. Since his thesis of one true dharma realm eliminates the boundary between the sacred (i.e., Buddhist) and the profane (i.e, non-Buddhist), it was quite natural for him to explicate the Buddhist scripture by relying on the indigenous Chinese philosophy and language. The method of his exegesis can be labelled as “correlative thinking” in that it unraveled symbolic meanings of a certain concept by relying on implications of another correlated concept.
For instance, when Li Tongxuan came across a passage in which the Buddha’s Immovable Wisdom is said to come from the Golden World of the East, he explicated its meaning with the schema that describes the growth and extinction of metal, one of the five phases. He then showed that Mañjuśrī and Samantabhadra have the titles “Boy” and “Elder” because the trigrams gen and zhen associated with their abodes have such implications. He also maintained that the south symbolizes emptiness (śūnyatā ) because the associated trigram li is understood as empty in the middle. He further stated that the southeast indicates verbal edification because the associated trigram xun has the meaning of language and wind.
Although his explication of the Avataṃsaka-sūtra heavily relied on indigenous Chinese thought, it should be labelled a Buddhist exegesis. For he associated each of the ten directions with one of the ten perfections (pāramitā ). It is also noteworthy that he correlated those directions with the stages of bodhisattva practice that range from the ten faiths up to Buddhahood. This means that he intended practitioners to pursue a higher religious value without being indulged in the present secular life, although he adopted the secular philosophy. Such an exegetical fashion resonates well with his notion of one true dharma realm, which regards the existential foundation of sentient beings as the very abode for enlightenment.
目次I. 들어가는 말 116
II. 일진법계 개념과 『화엄경』의 상징체계 해석 118
III. 방위에 대한 상징적 해석(1): 주요 4방위와 동북방 121
IV. 방위에 대한 상징적 혜석(2): 나머지 밤위를 134
V. 결론 139
ISSN15980642 (P)
ヒット数243
作成日2021.06.01
更新日期2021.06.0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572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