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금강경』의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 즉비적 화법과 즉비시명적 화법=A Study of the Mode of Expression of the Diamond Sutra [金剛經] -- Just-not Speech [卽非的 話法] and Just-not but-named Speech [卽非是名的 話法]
著者 정성욱 (著)=Jeong, Seong-wook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36
出版年月日2013.09
ページ229 - 269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キーワード금강경=The Diamond Sutra=金剛經; 즉비적 화법=Just-not Speech=卽非的 話法; 즉비시명적 화법=Just-not but-named Speech=卽非是名的 話法; 즉비논리=Just-not Logic=卽非論理
抄録현대 한국불교의 사상은 『金剛經』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지만,불교역사에 있어서도 수많은 판본과 주석서가 그 중요성을 말해준다. 그러나 수많은 주석서들은 지나치게 현학적으로 기술되어 있거나 格外道理를 강조하다 보니 본문의 흐름이나 표현방식을 간과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금강경』 본문의 표현방식의 변화를 살피면서 본문을 좀 더 명확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구마라습역을 중심으로 하고 전재성과 각묵역을 참조하여 본문 분석의 기초를 삼았다. 그리고 『금강경』을 한역하면서 상하로 구분하거나 두 부분으로 구분한 학자들도 있지만 구분의 필연성보다 편의적 기준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그래서 본고는 卽非的 話法과 卽非是名的 話法을 분류의 기준으로 삼아 『금강경 』 본문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보았더니 전반부는 주로 즉비적 화법으로 표현되어 있었고 후반부는 즉비시명적 화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고는 즉비적 화법과 즉비시명적 화법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보임으로써 『금강경』후반부의 표현방식이 전반부의 표현방식과 배치되는 입장에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It is commonly recognized that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thought is largely based on the Diamond Sutra [金剛經]. A considerable number of printings and commentaries attest to the importance of the Diamond Sutra in the history of Buddhism. However, many such commentaries are often written in a pedantic manner and ignore the original text's flow or mode of expression, by emphasizing supramundane principles outside the realm of ordinary conceptual thought [格外道理].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iamond Sutra [金剛經] more clearly by examining the changes in its mode of expression.
In this essay, the analysis of the original text is mostly based on the commentary of Kumārajīva (鳩摩羅什: 344-413), with references to Jae-Seong Cheon's (金在星:2003) and Gakmuk's (覺黙:2001) translation. Though some scholars divided the Diamond Sutra [金剛經] into two parts when translating into Chinese, this was not due to inevitability but due to convenienc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divide the Sutra into two parts, classifying it as ‘Just-not Speech’ [卽非的 話法] and ‘Just-not but-named Speech’ [卽非是名的 話法]. I find that the former was mostly composed of ‘Just-not Speech’ [卽非的 話法] and the latter ‘Just-not but-named Speech’ [卽非是名的 話法].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is essay concludes that the Sutra's mode of expression in the two parts conflict with each other.
目次Ⅰ. 서론 232
1. 『금강경』의 중요성 232
2. 선행연구들의 관점 233
3. 분석의 범위와 방향 238
Ⅱ. 『금강경』의 구분과 卽非論理 240
1. 전통적 구분 240
2. 即非의論理 243
Ⅲ. 卽非的 話法 247
1. 즉비적 화법의 연원 247
2. 즉비적 화법의 특징 250
3. 즉비적 화법의 예 250
Ⅳ. 卽非是名的 話法 252
1. 즉비시명적 화법의 연원 252
2. 즉비시명적 화법의 특정 255
3. 즉비시명적 화법의 예 256
Ⅴ. 결론 265
ISSN15980642 (P)
ヒット数173
作成日2021.06.02
更新日期2021.06.0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588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