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화엄 교학에서의 연기(緣起) 개념=The Concept of Dependent Origination in Huayan Scholasticism
著者 고승학 (著)=Koh, Seung-hak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37
出版年月日2013.12
ページ103 - 139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注記
キーワード화엄 교학=Huayan scholasticism; 법계연기=dependent origination of the dharma realm; 진여연기=dependent origination of suchness; 성기=nature origination; 중중무진=repetition ad infinitum; 인과동시=simultaneity of cause and result
抄録본 논문은 화엄 교학 전통에서 연기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고찰하고 단일해 보이는 이 전통 내에 다양한 연기 개념이 존재하였음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불교의 연기 개념이 시간의 흐름을 중시하여 고통의 발생과 소멸이 특정한 조건에 의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면, 대승불교의 공 개념은 현상계의 모든 사물들이 상호 의존하고 있다는 직관을 가지게 하였고 연기로부터 시간성을 탈각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화엄 교학의 진여연기와 볍계연기, 그리고 성기 개념은 여기에 사물의 발생론적 근원을 추구하는 중국적 사유가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법장이 체계화한 화엄 교학에는 자종의 우월성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노골적으로 드러나 있고, 중중무진으로 특징지어진 법계연기를 설명하기 위해 『화엄경』의 전체 문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새로운 그러면서도 복잡한 이론 틀을 도입하여 이론을 위한 이론을 개진한 듯한 느낌을 준다.
다른 한편으로 이통현이 인과동시로서 화엄 일승을 규정하면서 제시한 중관적 논리 전개와 의상이 성기 개념을 논하면서 여래장사상과의 화회를 시도한 사례들로부터 우리는 화엄 교학 전통 내의 연기 개념이 지난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tracing the process in which the concept of dependent origination(pratītyā-samutpāda) was developed in the tradition of Huayan scholasticism. It also intends to reveal that diverse interpretations on the concept were presented within the seemingly unitary tradition.
Whereas the concept of dependent origination in early Buddhism emphasized the passage of time and showed that the arising and cessation of suffering was dependent upon a specific condition, the notion of emptiness(śūnyatā) in Mahāyāna Buddhism led to the intuition of the interrelatedness of every object in the phenomenal world, thereby excluding temporality from dependent origination. Combined with this atemporal notion of emptiness, the Chinese penchant for finding the generative origin of thing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uch Huayan theories as dependent origination of suchness, dependent origination of the dharma realm, and nature origination.
However, Huayan scholasticism as systemized by Fazang (643-712) is rather biased, openly touting its superiority to other schools. It also gives the impression that its theories just serve for the sake of theories. When Huayan masters explicate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the dharma realm, characterized by the idea of "repetition ad infinitum," they often introduced new and complicated theoretical frames without considering the whole context in which certain key concepts occur in the Flower Garland Sutra.
On the other hand, we can confirm the existence of diversities in the Huayan tradition from examples such as Li Tongxuan's (635-730) adoption of Mādhyamika logic for the definition of the simultaneity of cause and result, and Uisang's (625-702) reconciliation of Tathāgata-garbha thought and the philosophy of nature origination.
目次Ⅰ. 들어가는 말 106
Ⅱ. 연기 개념의 변용과 화엄의 법계연기 개념 111
Ⅲ. 인과동시로서의 일승 연기 121
Ⅳ. 성기 개념의 출현과 전개 양상 127
Ⅴ. 결론 133
ISSN15980642 (P)
ヒット数133
作成日2021.06.03
更新日期2021.06.0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612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