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십지경』의 가장 오래된 두 네팔 산스크리트 사본의 전사(轉寫) -- 『현전지』(I)=A Transcription of the Two Oldest Sanskrit Manuscripts of Daśabhūmikasūtram in Nepal : the 6th abhimukhī nāma bodhisattvabhūmiḥ (Part I) |
|
|
|
著者 |
이영진 (著)=Lee, Young-jin (au.)
|
掲載誌 |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巻号 | v.39 |
出版年月日 | 2014.06 |
ページ | 7 - 55 |
出版者 | 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
出版サイト |
http://www.kabs.re.kr/
|
出版地 | 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注記 | |
キーワード | 『십지경』=Daśabhūmikasūtra; 「현전지」; 전사=轉寫=transcription; 사본=new critical edition; 독립경전으로서 티벳역=Tibetan translation of the mdo sde section; 『십지경론』; 산문; prose recension; Daśabhūmivyākhyānam; abhimukhī |
抄録 | 본 논문은 현재까지 나온 『십지경』의 편집본들이 참고하지 않은 가장 오래된 두 네팔사본의 「현전지」, 그 중에서도 십이연기를 다룬 부분에 대한 전사(轉寫)가 주를 이루고 있다(Ⅲ). 이 두 네팔사본은 각각 굽타 이후의 문자로 쓰인 6~7세기 사본과 갈고리형 네팔 문자를 사용한 12~13세기 사본으로서 이전 편집본들이 기반한 18세기 이후의 종이사본들에 비해 상당히 시기가 앞선다. 뿐만 아니라 후대사본들이 시작게송-산문-요약게송의 형식으로 이루어지지만, 이 사본들은 산문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이 논문의 Ⅳ에서는 현재까지 연구자들이 다루지 않은 독립경전으로서의 『십지경』 티벳역을 Stog 궁전 사본과 Shey 궁전사본을 참조하여 편집하였는데, 이 독립경전 티벳역 역시 산문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세친의『 십지경론』의 티벳역은 시작게송-산문-요약게송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화엄경』에 포함된 티벳역이 아니라, 이 독립경전의 티벳역과 일치한다. 이러한 점을 통해 세친의 『십지경론』 역시 산문만으로 이루어진 산스크리트 사본을 참조로 하여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Ⅱ에서는 전사를 통해서 본 가장 오래된 두 네팔 사본의 특징과 개선된 읽기를 제안하였다.
As the title of this article shows, it mainly consists of a transcription of the two oldest Sanskrit manuscripts of Daśabhūmikasūtram, referred to as MS A and MS B by Matsuda(1996), which have not been consulted by previous editors of Daśabhūmikasūtram such as Rahder and Kondō. This transcription will be the first step of a new critical edition of the text based on the 6 or 7 manuscripts in Nepal, including MS A and B. Chapter 4 of this paper includes an edition of the Tibetan translation of the mdo sde section based on the Stog palace manscript and the Shey Palace manuscript, which corresponds to the missing folio of MS A. This Tibetan translation has not been studied by scholars, even though the Tibetan translation of the text in the Phal chen section has; it literally matches the content of Daśabhūmikasūtram quoted in the Tibetan translation of Daśabhūmivyākhyānam by Vasubandhu. This fact indicates a high possibility that Vasubandhu, while he was commenting on the Daśabhūmikasūtram, used a prose version of the sūtra such as MS A, B, and the Sanskrit manuscript[s] that the Tibetan translator[s] of the mdo sde section consulted, all of which exclude the summarizing verses. In the second chapter, I point out that MS A might have been affected by the commentaries, based on the terms exclusively used in MS A. |
目次 | I. 『십지경』의 가장 오래된 두 네팔 사본 10 II. 「현전지」전사를 통해본 가장 오래된 두 네괄 사본의 특징과 게선된 읽기의 제안 16 III. A transcription of the two oldest Sanskrit manuscripts of Daśabhūmikasūtram in Nepal : 6th bodhisattvabhūmiḥ part I . 32 IV. An edition of the Tibetan translation in the mdo sd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issing folio of MS A based on the Stog palace manscript and the Shey Palace manuscript. 45 |
ISSN | 15980642 (P) |
ヒット数 | 233 |
作成日 | 2021.06.07 |
更新日期 | 2021.06.07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