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법상(法上) 『십지론의소』 「가분석」의 전개=The Development of Interpretation of Shidi lun yishu on Power Verses by Fashang - in relation to Jinging Huiyuan
著者 김천학 (著)=Kim, Cheon-hak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48
出版年月日2016.09
ページ119 - 145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注記
キーワード법상=Fashang; 혜원=Huiyuan; 십지론의소=Shidi lun yishu; 삼매=samādhi; 언설; Dilun school; sermon
抄録본고는 초기 지론사인 법상 『십지론의소』의 『십지경론』 「가분」에 대한 해석, 즉 「가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해석이 제자인 혜원에게 전승되고 비판되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지론사상의 계승 및 전개의 한 단면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십지경론』「가분」은 지론사상 이해의 중요한 근거가 되는 부분이며 여기에는 삼매와 언설, 육상, 삼종의 궁극(盡) 등의 교리가 주축을 이룬다. 본고에서는 『십지경론』「가분」의 과문과 이에 대한 『의소』의 과문, 그리고 혜원과의 관련을 통해 그 해석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의소』의 「가분석」 가운데 후에 설법의 근거로서 중요한 관점을 제공하는 삼매와 언설의 문제를 혜원과의 관련을 염두에 두면서 상세히 논하였다.
『의소』「가분석」에서는 가분에 해당하는 『경』문 일부와 『논』문 전체를 과문을 통해 해석하고 있는데, 『십지경론』을 해석할 때 경문과 과문을 나누어 과목을 설정하는 방식은 혜원에게 이르러서 철저해진다. 다만, 과문의 명목 상에 혜원에게 계승된 부분은 없다. 그런데 「가분석」의 해석을 통해서 볼 때는 혜원의 『십지론의기』에서 『의소』를 참조한 것이 확인되며, 『의소』의 해석을 비판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신행지(信行地)’ 보살에 대해서 지전으로 규정하는 『의소』의 해석은 『의기』에 수용될 뿐 아니라 『대승의장』으로 적극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의기』에서는 십종입에 관한 『의소』의 해석을 ‘어떤 사람(有人)’ 으로 명명하며 비판하고 있다.
삼매와 언설의 문제에서 『의소』에서는 부처는 삼매 가운데서도 언설이 가능하고, 보살은 삼매로부터 일어나야 교설이 가능하다고 해석하지만, 『의기』에서는 삼매로부터 일어나서야 설법이 가능하다고 해석을 견지한다. 그러나, 이후 지론종을 계승한 화엄종에서는 삼매와 언설의 문제에서 『의소』의 해석과 궤를 같이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aspects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Dilun thought through Shidi lun yishu on Power Verses by Fashang in early Dilun School.
Power Verses of Shidi jinglun is an essential part of understanding the Shidi thought of Dilun school. As Fashang interpreted Power Verses of Shidi jinglun, he used the method of Division of a text which is breaking sentences of sūtra and śāstra. This approach standardized by Huiyuan later. Although he systemized the method, Huiyuan did not succeed the contents on the Division of a text.
In details, we can find that Huiyuan used the interpretation on Power Verses by Fashang as a reference and made a critique about it. In the discussion of the nine kinds of entry(入), Huiyuan also criticized Fashang’s interpretation designating Fashang as ‘somebody (有人)’ in his interpret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samādhi, Fashang viewed that language is possible during samādhi for Buddha but it is only possible by awakening from samādhi for Bodhisattva. In the meantime, Huiyuan asserted that sermon can only be possible after awakening from samādhi. Huayan school that succeed Dilun school, however, held identical view with Fashang on the matter of language and samādhi.
目次Ⅰ. 문제의 소재 120
Ⅱ. 『십지경론』 가분의 구조 121
Ⅲ. 『의소』의 가분 해석과 혜원 123
Ⅳ. 삼매와 언설의 문제 132
Ⅴ. 결론 140
ISSN15980642 (P)
ヒット数227
作成日2021.06.21
更新日期2021.06.2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773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