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인도밀교의 성립에 나타난 후기중관파와 밀교의 교섭 고찰=A Study on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the Later Madhyamaka School and Esoteric Buddhism in the Formation of Indian Esoteric Buddhism
著者 정성준 (著)=Cheong, Seong-joon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49
出版年月日2016.12
ページ285 - 310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注記
キーワード후기중관파; 유가행중관파=Madhyamaka-yogacara; 소연=; 전식득지; 붓다구히야; 대일경=Mahāvairocana Tantra; 수습차제; Madhyamaka school; ālambana; Buddhaguhya; Atisha; Kamalasila; Bhavana-krama; Vajra Peak Tantra
抄録인도불교의 성립사를 통해 살펴볼 때 중관사상은 밀교의 성립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밀교는 중관사상의 입장에서 석가모니붓다의 연기설을 수행의궤상에 실현시키고 있다. 대승불교의 성립과정은 중관사상을 비롯한 유식, 여래장 등의 대승불교사상이 실천적 목적에 의해 밀교의 의궤를 통해 형식화된 것이다. 특히 용수보살의 중관사상은 이제설의 확립을 통해 세속제의 입장에서 유가행과 더불어 밀교의 의례, 의궤화, 형식화를 설명하는 교학적 근거가 되었다. 중관사상의 발전은 유가유식의 이론적 토대로부터 聞思修慧의 止觀으로 이어지는 수행체계와 결합해 후기중 관파로 일컬어지는 중관학의 세대는 瑜伽行中觀派의 전통을 확립하게 되었다. 대승불교의 방대한 경전과 사상체계를 암기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방편은 『유가사지론』의 문지다라니를 비롯한 4종의 다라니 체계와 유가행으로서 지관으로 귀결된다. 『유가사지론』의 지관은 7세기 전후한 시기에 『上禪定品』이나 『金剛手灌頂經』과 같이 진언, 수인 등의 소연상을 관하여 삼매에 이르는 관행으로 발전하였다. 『대일경』의 성립을 통해 眞言門의 용어가 확립되면서 인도 대승불교에 밀교라는 새로운 흐름이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인도의 많은 후기중관파, 또는 유가행파의 학장들이 관여하여 밀교의 주석을 남겼고, 이들은 한결같이 顯敎와 密敎의 兼修를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 유가행을 통한 밀교수행 성립의 평가는 밀교가 외래종교를 모방했다는 오해를 불식시키는 것으로 인도불교문헌의 소연상과 유가행 해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From the viewpoint of outer presentation of Buddhist rites, the Madhyamaka School and Esoteric Buddhism are regarded to have developed controversial doctrines and practices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However, in fact, the Madhyamaka School had a vital influence on the foundation of Esoteric Buddhism, and Acaryas of Esoteric Buddhism brought the doctrine to realize in the actual rite. It is possible to say that Esoteric Buddhism could not succeed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without the devotion of the Madhyamaka School.60)
The formation of Esoteric Buddhism firstly began by the adoption of religious elements from ancient religions of India. Among those elements, mantra and dharani contain lots of efficient expedients and tools to help the Dhyana and Samadhi of Buddhist practice, regardless of the religious background. Meanwhile, the practice system of the Madhyamaka School was built on the foundation of Yogacara practices, which were composed of listening and contemplating practices, which afterwards abridged to the practice of Samatha and Vipassana.
In the early age of Mahāyana Buddhism, the practice to attain Buddhahood was to read and memorize sacred scriptures, but afterwards it adopted the mantra, dharani, mudra and maṇḍala as a Ālambana (所緣) to help the practice of Yogacara like Samatha and Vipassana. At first the Ālambana meant just a phenomenal externality of a practitioner’s mind, but soon those Ālambana became important elements of Accomplishment found in Buddha’s body of Nirmaṇa-kāya and Saṃbhoga-kāya. So lots of evidence has been found that the advent of Esoteric Buddhism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did not originate from the outer Indian religions, but from internal and gradual process of ripening Buddhist expedients suggested by the masters of the Madhyamaka-yogacara School.

目次Ⅰ. 서언 286
Ⅱ. 인도 후기중관파의 교의 288
Ⅲ. 진언문의 유가행 의궤화 298
Ⅳ. 결어 305
ISSN15980642 (P)
ヒット数88
作成日2021.06.22
更新日期2021.06.2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792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