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초기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으로의 태어남과 업=Female Birth and Karma in Early Buddhism
著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53
出版年月日2017.12
ページ225 - 250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注記
キーワード성전환=Sex-change or gender-transformation; 여성의 열등한 업=Women’s inferior karma; 여성으로의 태어남=Female birth; 12연기=Dependent origination; 무아=Non-self; 성 구분 없는 이상=Gender-less ideal
抄録이 논문에서 필자는 여성으로의 태어남이 악업이나 부족한 공덕의 과보라는 널리 퍼진 인식을 초기 불교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초기 불교의 텍스트들은 여성의 열등한 업에 대해서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고 여성의 종속만 간접적으로 인정할 뿐이다. 『위나야 삐따까』에서 성전환은 그에 대한 어떠한 도덕적 판단 없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내생에서의 성전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수다원과를 얻은 고삐까라는 사꺄족 여성은 죽어서 33천에서 삭까의 아들로 태어났다. 반면에 아버지의 왕궁으로 춤을 추러오던 간답바들은 나중에 그가 전생에 존경하였던 세 명의 승려들로 판명되었다. 이내러티브는 여성의 업이 남성의 업보다 결코 열등하지 않으며 여성의 업은 때로 남성의 업을 능가할 수도 있음을 말해준다. 업과 그 과보에 대한 상세한 교설이 담긴 『맛지마 니까야』의 「쭐라깜마위방가 숫따」는 젠더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동일한 말을 빨리 니까야와 한역 아함경의 유사한 경들에 대해서도 할 수 있다. 12연기와 무아설은, 남성이나 여성 모두 개념일 뿐이지 실재가 아님을 제안하면서 젠더의 무상을 말한다. 붓다는 오직 인간만이 진정한 정신적 진보를 이루고 윤회로부터 벗어난 해탈을 얻을 수있다는 점에서 인간으로 태어나는 것이 가장 좋은 재생이라고 말한다. 게다가 여성으로의 태어남이 악업이나 부족한 공덕의 과보라는 생각은 카스트, 사회적 지위, 인종이나 젠더에 기반을 둔 어떠한 편견도 없는 완전한 깨달음에 이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번뇌로부터의 자유와도 양립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초기 불교에서는 여성으로의 태어남과 업이 부정적으로 간주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With this paper I examine the widespread recognition that birth as a woman is the result of bad karma (pāpa-kamma) or of demerit from the early Buddhist perspective. Early Buddhist texts have little to say about women’s inferior karma, but there exist indirect hints that imply women’s subjugation. The sex-change is taken for granted in the Vinaya-piṭaka with no moral judgments about it. The same thing can be said about sex-change in next lives. A Sākyan woman, Gopika by name, who was a stream-winner, died and was born as Gopaka, the son of Sakka in Tāvatiṃsa. On the contrary, three heavenly musicians (gandhabba) who had come to dance at his father’s palace were identified as three monks he had worshipped in his former existence. This narrative indicates that women’s karma is never inferior to men’s karma and that women’s karma sometimes can exceed men’s karma. The Cūḷakammavibhaṅga-sutta of the Majjhima-Nikāya, in which a detailed exposition of karma and its results can be found, does not broach the topic of maleness or femaleness at all. The same can be said to other similar suttas or sūtras in the Pāli Nikāyas and Chinese Āgamas. The doctrines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non-self theory indicate the transcendence of gender, suggesting that both male and female genders are nothing but concept. The Buddha agrees that birth as a human being is the best possible birth because only as a human can one make real spiritual progress and attain liberation from the round of rebirth. Furthermore, the idea that birth as a woman is the result of bad karma or of demerit is incompatible with the freedom from defilement incumbent on reaching full awakening, where any prejudice based on caste, social standing, race or gender has been left behind. Therefore, we can safely say that female birth was not seen as something negative in Early Buddhism.
目次I. 들어가는 말 226
II. 성전환 230
III. 여성으로의 태어남과 업의 작용 237
IV. 여성의 정신적 능력 241
V. 나가는 말 244
ISSN15980642 (P)
ヒット数35
作成日2021.06.28
更新日期2021.06.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839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