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쁘라마나삼웃짜야(브릿띠) 』 1.21-24에서 디그나가의 바이쉐시까 지각론 비판=Dignāga’s Criticism on the Theory of Perception of Vaiśeṣika in Pramāṇasamuccaya(vṛtti) 1.21-24
著者 박대용 (著)=Park, Dae‐yong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62
出版年月日2020.03
ページ83 - 106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キーワード디그나가=Dignāga; 바이쉐시까=Vaiśeṣika; 『쁘라마나삼웃짜야(브릿띠) 』=Pramāṇasamuccaya(vṛtti); 『바이쉐시까수뜨라 』 =Vaiśeṣikasūtra; viṣayālocanamātra; 지각=pratyakṣa; 내속=samavāya
抄録이 논문의 목적은 『쁘라마나삼웃짜야(브릿띠) 』(Pramāṇasamuccaya(vṛtti) [集量論(註), 이하 PS(V)) 제1 「현량장」 21-24게송과 자주에 나타난 디그나가(Dignāga [陳那], ca.480-540)의 바이쉐시까(Vaiśeṣika, 勝論學派)의 지각 이론에 대한 비판을 검토하기 위함이다. 주지하다시피 디그나가는 당시 타 학파 논사들과 격렬한 논쟁을 펼친 결과 ‘토론의 황소’(tarka puṅgava)라 불리게 되었다. 디그나가는 PS(V) 1장 전반부에서 지각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소개한 후, 그 후반부에서 곧바로 그와 동시대 인도의 타 학파들의 견해들을 차례대로 논박했다. 에른스트 슈타인켈너(2005)에 의해 새롭게 복원된 산스끄리뜨 교정본 PS(V) 1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PS(V) 1.1 - 1.12 : 디그나가 자신의 지각론
∙ PS(V) 1.13-1.16 : 『논궤 』의 지각 정의 비판
∙ PS(V) 1.17-1.20 : 니야야 학파의 지각론 비판
∙ PS(V) 1.21-1.24 : 바이쉐시까 학파의 지각론 비판
∙ PS(V) 1.25-1.33 : 상캬 학파의 지각론 비판
∙ PS(V) 1.34-1.44 : 미망사 학파의 지각론 비판

이 PS(V) 1장은 총 44개 게송과 자주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가운데 PS(V) 1.21-24는 바이쉐시까(Vaiśeṣika)학파[勝論學派]의 지각론, 특히 『바이쉐시까수뜨라 』(이하 VS)에 나타난 VS 3.1.15의 지각 정의와 VS의 다른 수뜨라(sūtra)들과의 상충된 모순을 지적함으로써 결론적으로 이들의 주장은 궤변론자들(kutārkika)의 어리석은 개념(abhimāna)에 지나지 않는다고 힐난하는 것으로 매듭짓는다. 이에 본 연구는 디그나가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바이쉐시까의 VS에 나타난 지각과 관련한 내용에 대해 선행 검토하고, 이어서 PS(V) 범어 복원본을 바탕으로 그의 바이쉐시까 지각론 비판을 꼼꼼히 살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elucidate and examine Dignāga (陳那, ca.480-540)’s criticism on the theory of perception (pratyakṣa) of Vaiśeṣika school, which was presented in his Pramāṇasamuccaya(vṛtti) [hence PS(V)] 1.21-24, to some extent, referring to his later controversial debates in the commentaries to it. As we know, Dignāga defeated various heretics in fiery debates, and therefore was called a ‘bull in debate’ (tarkapuṅgava) at his time. According to his later work, Dignāga proved his view of perception decisively to refute other contemporary Indian schools’ views in his PS(V) Chapter 1 one by one. The Sanskrit critical edition of the PS(V) Chapter 1 which has been newly reconstructed by Ernst Steinkellner (2005), would be divided as follows:

∙PS(V) 1.1 - 1.12 : Exposition of the Theory of Perception of Dignāga,
∙PS(V) 1.13-1.16 : Criticism on the Definition of Perception of Vādavidhi,
∙PS(V) 1.17-1.20 : Criticism on the Theory of Perception of Nyāya,
∙PS(V) 1.21-1.24 : Criticism on the Theory of Perception of Vaiśeṣika,
∙PS(V) 1.25-1.33 : Criticism on the Theory of Perception of Sāṃkya,
∙PS(V) 1.34-1.44 : Criticism on the Theory of Perception of Mīmāṃsaka.

In PS(V) 1.21-24, Dignāga pointed out the contradiction of Vaiśeṣika school’s view of perception in their Vaiśeṣikasūtra (hence VS), especially between VS 3.1.15 and VS 10.1.3-4, namely ‘contacts of four factors [=ātma, indriya, manas, and artha]’ (catuṣṭaya sannikarṣa) and ‘a mere manifestation of perceptual object’ (viṣayālocanamātra). Furthermore, he vehemently criticized Vaiśeṣika as bad philosophers (kutārkika) having a fatuous notion (abhimāna). Accordingly, in this article, I will make a prior examination on the content of Vaiśeṣika’s perception in VS, and then observe closely his criticism against Vaiśeṣika’s perception theory, based on the Sanskrit Reconstruction of PS(V) Chapter 1.
目次I. 들어가는 말 84
II. 바이쉐시까 학파의 지각론 이해 86
III. PS(V) 1.21-24에서 디그나가의 바이쉐시까 비판 90
IV. 나오는 말 101
ISSN15980642 (P)
ヒット数165
作成日2021.07.16
更新日期2021.07.1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969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