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산스크리트 nominal style의 분석을 통한 『寶性論』 제1장 제27송의 해석과 번역=Sanskrit Nominal Style and a Translation of the 27th Verse in Chapter I of the Ratnagotravibhāga
著者 우제선 (著)=Woo, Je-son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66
出版年月日2021.03
ページ241 - 265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注記
キーワード여래장=tathāgatagarbha; 법신; 진여=tathatā; 종성; 불성=Buddha nature; 『보성론』=Ratnagotravibhāga; Sanskrit nominal style; buddhakāya; gotra
抄録『寶性論』 제1장 제27송은 “모든 중생은 如來藏”이라는 교설과 그 근거를 제시하고 있어 여래장사상 연구에 매우 중요한 게송이다. 현대 불교학계에서는 이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인 다카사키 지키도(高崎直道)가 1966년에 제27송을 英譯한 이래, 다수의 학자가 그들의 저서나 논문에서 이 게송을 다루어 오고 있다. 그러나 다카사키의 영역을 포함한 기존번역의 경우, 그 내용이 모호하여 『보성론』의 저자가 이 게송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알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제27송에 나타나는 여래장, 법신, 진여, 종성과 같은 난해한 개념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게송의 표현방식인 산스크리트 nominal style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제27송의 nominal style을 일반문체로 바꾸어 말의 표현 때문에 생기는 해석상의 어려움을 해소한 후, 이 게송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nominal style 형태를 취하고 있는 몇 가지 산스크리트 문장을 실례로 들고, 이 문장들의 명사식 표현방식을 어떻게 ‘주어+술어’ 관계의 문장형태로 바꾸어 쓸 수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산스크리트 원전에 티벳역 및 기존의 주요 번역들을 대조 분석하여, “모든 중생은 여래장”이라는 전체 맥락에서 제27송의 각 句가 어떤 함의를 가지고 있는가를 검토한다. 이 논문의 최종목표는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제27송 자체만으로도 그 의미가 소통될 수 있는 새로운 번역을 제시하는 것이다: “중생은 부처의 지혜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心이 본래/본성상 청정하다는 점에서 중생은 부처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부처는 중생의 佛種姓=佛性의 果라고 가설되기 때문에, 모든 중생은 여래장이다.”

perspective that every living being is a tathāgatagarbha and its threefold reason. Ever since Jikido Takasaki made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verse in 1966, his translation has been accepted as an exemplary one so far without any critical reviews or revisions except the fourth pada of the verse, even though there are noticeable errors, especially in terms of its vague phrasing. The problematic translation was caused due to either the abstruse theory of tathāgatagarbha or Sanskrit nominal style with which each pada of the 27th verse is expressed. For this reason, it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to clarify the ambiguity of expressions in the verse before investigating its theoretical meaning. This paper conveys the two discussions as follows: Firstly, it collects and analyzes a couple of passages written in Sanskrit nominal style, and introduces how to change them into a general style. Secondly, after resolving the problems that nominal style produces in the 27th verse, it then tries to correct the errors found within its extant translations, and provides a new translation: “Since the Buddha’s wisdom is inherent in all sentient beings; since sentient beings are not different from the Buddha in the sense that their mind is by nature immaculate; and since the Buddha is provisionally expressed to be the effect of the essence of the Buddha; all sentient beings are tathāgatagarbhas.”
目次I. 들어가는 말 242
II. 산스크리트 nominal style−‘속격+명사의 탈격’ 243
III. 제27송의 분석과 직역 245
IV. sarvasattvās tathāgatagarbhāḥ의 분석 255
V. 제27송의 의역 259
VI. 맺는 말 259
ISSN15980642 (P)
ヒット数134
作成日2021.07.23
更新日期2021.07.2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030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