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The Buddha’s Great Miracle, a Flowering Sprig from Kṣemendra’s Wish-Fulfilling Vine of Tales of the Bodhisattva (Bodhisattvāvadānakalpalatā): English Translation with Editions of the Sanskrit Text and Tibetan Translation=붓다의 위대한 기적, 끄세멘드라(Kṣemendra)의 『소원을 들어주는 넝쿨, 보살의 이야기』(Bodhisattvāvadānakalpalatā)로 만든 꽃 장식: 영역(英譯), 그리고 산스크리트 텍스트와 티벳역 편집본
著者 Fiordalis, David V.=피오르달리스, 데이비드 V.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67
出版年月日2021.06
ページ45 - 121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英文=English
キーワード고전 산스크리트 시학=Classical Sanskrit poetry; Bodhisattvāvadānakalpalatā; 불교 서사 문학=Buddhist narrative literature; 붓다 전기=Buddha biography; 산스크리트 문헌학. 위대한 기적 이야기=Great Miracle story; 끄세멘드라=Kṣemendra; Sanskrit philology
抄録This article offers a new English translation and edition of the Sanskrit text along with the Tibetan translation of the story of the Buddha’s “Great Miracle” (mahāprātihārya), as retold by the 11th century Kashmiri poet, Kṣemendra, in his poetic epitome of Buddhist narrative literature, The Wish-Fulfilling Vine of Tales of the Bodhisattva (Bodhisattvāvadānakalpalatā). Perhaps what will be most exciting to scholars of Buddhist literature is the news that this edition of the Sanskrit text reports the readings of a palm-leaf manuscript that preserves the complete work in the original language, one of two palm-leaf manuscripts kept at Drepung Monastery to have recently come to light. The edition also takes into account previous scholarship on Kṣemendra’s version of the story. A dynamic English translation attempts to convey some sense of the meaning and poetry of the original, and thereby to extend knowledge and appreciation of the story to a wider audience. The general introduction situates the story within a broader literary and historical context, and makes the argument that the primary source for Kṣemendra’s retelling is the version of the Great Miracle story found in the Mūlasarvāstivāda-vinaya. It also articulates a vision of why we should pay closer attention to Buddhist literature as literature.

본 논문은 시로 읊은 불전문학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11세기 카쉬미르 지방의 시인 끄세멘드라(Kṣemendra)의 저작 『소원을 들어주는 넝쿨, 보살의 이야기』(Bodhisattvāvadānakalpalatā)에 실려있는 붓다의 “위대한 기적”(mahāprātihārya) 이야기에 대한 새로운 영문 번역과 산스크리트 텍스트 그리고 티벳역의 편집본을 제시한다. 불전문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가장 흥미로운 지점은 아마도 본고의 산스크리트 편집본이 최근 발견된 데뿡(Drepung)사원에 보관되어 있는 두 야자나무 잎 사본 가운데 하나이자, 원어로 저작 전체가 보존되어 있는 한 사본의 독법(reading)을 보고하고 있다는 사실일 것이다. 본 편집본은 또한 끄세멘드라 버전의 이야기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참조하고 있다. 동적인(dynamic) 영문 번역으로 원본의 시적 요소와 의미를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이야기에 대한 지식과 감상을 보다 넓은 범위의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서론에서는 본 이야기를 문학적, 그리고 역사적 맥락 속에서 조망하였으며, 끄세멘드라가 개작한 이야기가 『근본설일체유부 비나야』(Mūlasarvāstivā-davinaya) 버전의 위대한 기적 이야기에 근거하고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또한, 왜 우리가 불교문학을 문학작품으로서 주목해야 하는지에 대한 하나의 관점을 피력하였다.
目次I. General Introduction 46
II. English Translation 57
III. Sanskrit Edition(s) with Tibetan Translation 77
ISSN15980642 (P)
ヒット数191
作成日2021.07.23
更新日期2021.07.2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031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