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华严经论≫的再发现与 ≪灵辨传≫的 “再构成”=Fa-zang’s Hermeneutic Reconstruction of the “Ling-bian Biography” |
|
|
|
著者 |
張文良 (著)=Zhang, Wen-liang (au.)
|
掲載誌 |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仏教学レビュー
|
巻号 | v.14 |
出版年月日 | 2013.12 |
ページ | 79 - 104 |
出版者 | 金剛大學 |
出版サイト |
https://www.ggu.ac.kr/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中文=Chinese |
ノート | 著者所屬:人民大学 |
キーワード | 영변=靈辨=Ling-bian; 『화엄경론』=『華嚴經論』=; 법장=法藏=Fa-zang; 『화엄경전기』=『華嚴經傳記』; 오대산계; 종남산계; The Story of Hu-yan Sutra Annotation to the Hua-yan Sutra |
抄録 | 영변(靈辨, 477-522)은 북위(北魏) 후기에 활약했던 『화엄경(華嚴經)』의주석가인데 그가 지은 『화엄경론(華嚴經論)』 100권은 중국불교사상 『화엄경』(60권) 전체에 대한 최초의 주석서이다. 하지만 『화엄경론』이 출현한 후160여 년간 민간에서만 유통되어 불교계의 주목을 끌지 못했다. 당(唐) 영순(永淳) 2년(683)이 되어서야 장안(長安)에 소개되고 아울러 당시 불교계로부터 높이 평가되었으니 『화엄경론』의 ‘재발견’이라 부를 만하다. 그후 『화엄경론』은 중국에서 다시 자취를 감추었으며 흔히 우리들이 볼 수 있는 것은 『속장경(續藏經)』에 수록된 제10권뿐이다. 그러다가 마침내 1950년대 일본에서 그 중 다섯 권(제3, 14, 16, 17, 18권)이, 1990년대 한국에서 다섯 권(제52, 53, 54, 55, 56권)이 발견되어 비록 전체는 아니지만 1600년 전의 저작이 다시 햇빛을 보게 되었다. 영변의 생애에 대한 가장 상세한 기록은 법장(法藏)의 『화엄경전기(華嚴 經傳記)』에 나온다. 『전기』에 따르면 영변의 생애는 다섯 시기, 즉 청년기의배움, 오대산(五臺山)에서의 수행, 현옹산(懸瓮山)에서의 『화엄경론』 저술, 낙양(洛陽)에서의 『화엄경론』 완성 및 궁중 강경(講經), 융각사(融覺寺)에서의 정양(靜養)과 입적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전기는 영변 일생의 가장 중요한 일인 『화엄경론』의 찬술 및 저술 동기와 과정에 대한 비교적 온전한 기록이라 할 수 있으며, 『화엄경론』이 어떻게 당대(唐代)에 재발견되었는지에 관하여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후대 영변의 전기에 대한 기술은 대부분 법장 『전기』의 설을 계승하여 내용상 큰 변화가 없다. 하지만 혜상(慧祥)의 『고청량전(古淸凉傳)』과 징관(澄 觀)의 『연의초(演義鈔)』를 자세히 고찰해 보면 법장 『전기』의 내용에 의심스러운 점이 상당하다. 영변의 오대산 수행 부분이 역사적 사실이 아닐 뿐만 아니라 낙양에서 찬술하고 강경했다는 설 역시 법장이 덧붙인 것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처럼 법장의 『전기』 속 『영변전』에 대해 재검토해 본 결과 그 대부분의내용이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법장이 ‘재구성’한 결과물임을 발견하였다. 그러한 ‘재구성’의 배후에는 당대의 오대산 ‘성산화’ 운동과 황실 권력에 의지한 불교 번영이라는 사회적 배경이 있다. ‘재구성’의 기본적 사고방식은 영변의 평민적 이미지를 바꾸어 그를 법장 자신과 가까운 궁정 승려로 만드는 것이었다. 만약 중국 화엄사상 발전의 어느 시기에 오대산계와 종남산계 양대화엄 체계의 대립이 있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법장의 『영변전』 재구성은 작자가 오대산계 화엄을 흡수하고 개조시키며 아울러 이를 통해 종남산계 화엄의 정통적 지위를 확립하려 시도했음을 의미한다.
The Chinese Buddhist monk/scholar Ling-bian’s (477-522) Annotation to the Hua-yan Sutra is the earliest extant Chinese commentary on the sutra. Though it was an important Buddhist text, it had circulated only among the grassroots believers in the next 160 years since its completion( 520). In Tang Dynasty, however, by virtue of Hua-yan master Fa-zang’s (643-712) The Story of Hu-yan Sutra (particularly the chapter/ book “Biography of Ling-bian” in it), the text began to capture the attention of a wider circle of Buddhist scholars and practitioners. Perhaps due to Fa-zang’s influential position in Hua-yan Buddhism, his account of the biography of Ling-bian had been taken as accurate by most scholars later in the history who wrote on Ling-bian. I argue in this paper that much of Fa-zang’s account of the biography of Ling-bian is not historically true, but rather Fa-zang’s hermeneutic reconstruction. My conclusion can be warranted through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accounts of Ling-bian’s life given in Huan-yan master Cheng-guan’s(738-839) yan-yi-chao and in Huan-yan master Hui-xiang’s Ancient Qing-liang Chronicle. In comparing Cheng-guan’s and Hui-xiang’s accounts with Fa-zang’s reconstruction, it becomes clear that Fa-zang’s reconstruction not only changed Ling-bian’s area of activity but also his social status. However, Fa-zang’s reconstruction is not accidental: 1) The fact that Fa-zang’s account transfers Lingbian’s activity area from Xuan Weng Shan (悬瓮山) to Qing Liang Shan/Wu Tai Shan (清凉山/五台山) resonates nicely with the spirit of the “Wu Tai Shan Sanctification Movement”; 2) The fact that Fa-zang’s account transforms Ling-bian into a royal monk seems to suggest that Fa-zang was trying to absorb and transform what Koujima Daisan(小岛岱山)’s called Wu Tai Shan sect (which stresses the actual practice and the grassroots nature of Buddhist faith) from the perspective of what he called Zhong Nan Shan sect (which stresses doctrinal studies and royal connections).
|
目次 | 一. 关于灵辨在五台山的修行 82 二. 关于灵辨在洛阳的著述活动 87 三. ≪华严经论≫的再发现与五台山的 “圣山化 91 四. ≪灵辨传≫的 “再构成”与灵辨形象的变异 96 五. 结语 101 |
ISSN | 19752660 (P) |
DOI | 10.29213/crbs..14.201312.79 |
ヒット数 | 348 |
作成日 | 2021.08.09 |
更新日期 | 2021.08.13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