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Power in Practice: Cosmic Sovereignty Envisioned in Buddhism’s Middle Period
著者 Stuart, Daniel M. (著)
掲載誌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仏教学レビュー
巻号v.18
出版年月日2015.12.31
ページ165 - 196
出版者金剛大學
出版サイト https://www.ggu.ac.kr/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英文=English
ノートAuthor Affiliations: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olumbia
キーワード명상수행=meditation practice; 유가행파=yogācāra; 정법념처경=Saddharmasmṛtyupasthānasūtra; 일체지=omniscience; 힘=power; 지혜=knowledge
抄録2세기에서 4세기 무렵의 불교 산스크리트 문헌인 정법념처경(Saddharmasmṛtyupasthānasūtra)은 대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던 초기 불교 유가행파(yogācāra)를 엿볼 수 있게 해 준다. 해당 문헌이 지니는 불교 수행도와의 이론적 관계는 도덕적인 통달(ethical mastery)을 바탕으로 하고 통찰 지혜(insight knowledge)의 강력한 형태 속에 정점에 달한 정신적 능력(spiritual power)에 대한 폭넓은 시야를 드러내 준다. 필자는 이 문헌이 “붓다의 일체를 아는 지혜”[一切智omniscience]와 그러한 일체지로 이끄는 길을 분명하고 독특하게 이론화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특정한 통찰 수행(Buddhist insight practices)을 그러한 지혜를 기르기 위한 기반으로 채용하면서, 정법념처경에 개술한 수행 체제(regime of practice)는 불교 수행자가 윤리적인 것에서부터 해체적인 것에 이르는 다양한 인식론적인 리스트를 경험적으로 거치게 하며, 이를 통해 우주적 자재(cosmic sovereignty)로 나아가는 발전단계 속에서 붓다가 가진 힘과 같은 강력한 힘을 낳는 실재에 관한 지혜를 습득하게 한다. 필자는 이러한 불교 수행, 지혜, 그리고 힘의 이론화가 전통적인 경전의 근거들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그러한 경전의 근거를 넘어서 유가행파의 수행자를 일체지에 접근하는 불교 명상으로부터 나온 “지혜에 관한 지혜”(metaknowledge)에 대한 강력한 매개체로서 나타내는 중층적 서술 속에 넣음으로써 어떻게 이행되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The second to fourth-century CE Buddhist Sanskrit text, the Saddharmasmṛtyupasthānasūtra, allows scholars a glimpse into a largely unstudied early cult of Buddhist meditation practitioners (yogācāra). The text’s theoretical engagement with the path of Buddhist practice reveals an expansive vision of spiritual power founded on ethical mastery and culminating in powerful forms of insight knowledge. I argue that the text represents an explicit and unique attempt to theorize a Buddha’s omniscience and the path leading to such omniscience. Employing specific Buddhist insight practices as foundational for cultivating such knowledge, the regime of practice outlined in the Saddharmasmṛtyupasthānasūtra allows a Buddhist practitioner to experientially negotiate a variety of epistemological registers, from the ethical to the deconstructive, and to thereby acquire knowledge of the reality that serves as a powerful force in the development of cosmic sovereignty, Buddha-like power. I show how this theorization about Buddhist practice, knowledge, and power is carried out by drawing on traditional canonical textual sources and pushing beyond them in a layered narrative that figures the yogācāra practitioner as a powerful conduit of a Buddhist contemplative metaknowledge approaching omniscience.
目次I. Introducing the Saddharmasmṛtyupasthānasūtra 169
II. Omniscience in Dispute 172
III. The Three-tiered Narrative Structure 178
IV. Power-knowledge in the Saddharmasmṛtyupasthānasūtra 186


ISSN19752660 (P)
DOI10.29213/crbs..18.201512.165
ヒット数44
作成日2021.08.09
更新日期2021.08.1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0962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