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Madhyamaka Schools in Early Tibet
著者 Vose, Kevin (著)=케빈 보스 (au.)
掲載誌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仏教学レビュー
巻号v.20
出版年月日2016.12.31
ページ49 - 94
出版者金剛大學
出版サイト https://www.ggu.ac.kr/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英文=English
ノートAuthor Affiliations: College of William and Mary
キーワード중관파=Madhyamaka; 티벳학파=Tibetan Schools; 귀류논증파=Prāsaṅgika; 자립논증파=Svātantrika
抄録본 논문은 11~12세기 티벳 중관 ‘학파들’의 두 가지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첫째로, 본고의 현 작업은 용수의 철학에 대한 티벳의 주해가 확고히 뿌리내렸던 이 시기에 중관 사상을 가르치는 데 있어 산파 역할을 한 승원의 기관들을 대략적으로 그려보는 것이다. 현 시점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다만 주요 인물들 및 승원들이 중앙 티벳에 속해 있었다는 점 뿐이다. “중관학파”의 두번째 의미에 관해 본고는 다양한 중관파의 가르침을 분류하기 위해, 그리고 자신들이 선호하는 해석을 분명히 하기 위해 티벳의 저자들이 사용했던 범주들을 분석한다. 몇몇 저자들은 8세기에 행했던 경량부-중관파와 유가행-중관파의 구별을 유지하는 데 그쳤으며, 본고에서는 중관파의 “환영론자”(sgyu malta bu / sgyu ma rigs grub pa)와 “머무름 없음”(rab tu mi gnas pa) 학파들의 많은 번역들을 조사한다. 티벳 저자들이 이 두 진영을 특징지었던 다양한 방식들을 통해 우리는 궁극적으로 자립논증파-귀류논증파 구분에 반영된 다양한 관심사들의 발전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자립논증파와 귀류논증파가 단순히 “환영론자”와 “머무름 없음”의 입장을 개칭한 것으로 주장하지는 않으며, (이 시기에 때때로 “대중관”으로 칭해지는) 자립논증파와 귀류논증파의 범주가 속제와 진제 양쪽 모두에 있어 티벳 중관파를 나누는 중요한 사안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wo senses of Madhyamaka “schools” in eleventhand twelfth-century Tibet. On the first, the present work roughly sketches the monastic institutions that were instrumental in teaching Madhyamaka during this time when Tibetan exegesis of Nāgārjuna’s philosophy took firm root. Our present state of knowledge only allows a sense of the central figures and the monasteries with which they were affiliated in Central Tibet. On the second sense of “Madhyamaka school,” this paper analyzes the categories that Tibetan authors utilized to classify various Madhyamaka teachings and to stake out their preferred interpretations. After noting that some authors retained the eighth-century distinction between Sautrāntikaand Yogācāra-Madhyamaka, this work explores many renditions of the “Illusionist” (sgyu ma lta bu / sgyu ma rigs grub pa) and “Non-Abiding” (rab tu mi gnas pa) schools of Madhyamaka. Through the many ways that Tibetan authors characterized these two camps, we see a range of evolving concerns that ultimately fed into the enduring Svātantrika – Prāsaṅgika divide. Arguing that Svātantrika – Prāsaṅgika does not, however, constitute a simple renaming of the “Illusionist” and “Non-Abiding” positions, this paper shows that the Svātantrika and Prāsaṅgika (sometimes referred to in this period as “Great Madhyamaka”) categories classify a host of issues that divided Tibetan Mādhyamikas on both conventional and ultimate truths.
目次Introduction 51
I. Madhyamaka Institutions 52
II. 1. The Early Evolution of Madhyamaka Categories 58
II. 2. The Svātantrika – Prāsaṅgika Distinction and Great Madhyamaka 77

ISSN19752660 (P)
DOI10.29213/crbs..20.201612.49
ヒット数95
作成日2021.08.11
更新日期2021.08.1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1072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