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법계와 복례의 회통연구=A Study on Harmonization between Dharma world and Etiquette Recovery
著者 김용환 (著)=Kim, Yong-hwan (au.)
掲載誌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巻号v.16 n.2
出版年月日2010.12
ページ61 - 87
出版者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キーワード일승법계=Dharma world; 극기복례=Etiquette Recovery by Overcoming Ego; 중도=Middle Way; 충성=Royalty; 효제=Filial Piety; 중도회통=Middle Way Harmonization
抄録이 글에서는 의상의 화엄사상의 중도(中道)와 극기복례의 회통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곧 ‘법을 알면 예의가 바른가?’의 문제이다. 먼저 의상이『일승법계도』의 모습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의미가 일승과 삼승의 조화이고 성품이 중도라는 점이다. 의상이 삼성과 삼무성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하는 것은 ‘언어’와 ‘증득한 경지’의 중도라는 점이다. 삼성과 삼무성은 유식학파에서 먼저 사용되었고 유식학파에서 삼성과 삼무성이 비유비위(非有非無)의 중도를 나타냈지만, 의상은 여기서 더 나가서 ‘언어’와 ‘증득한 경지’와 의 중도실상을 회통하고자 하였다.
선진유교의 기본 문제의식은 ‘극기복례(克己復禮)’이다. 이는 곧 “자기의 사욕(私慾)을 극복하고, 예(禮)로 돌아간다.”라고 해석된다. 아울러 “예(禮)가 아니면, 보지 말고(勿視), 듣지 말고(勿聽), 말하지 말고(勿言), 움직이지 말라(勿動)”라고 한다. 공자에 의하면, 예(禮)의 구속에 의하여 확보되는 생명실상의 질서가 ‘인(仁)’이다. ‘극기(克己)’는 내심(內心)의 자기 구속이다. 상당한 결심이 아니면 그 실천이 쉽지 않다. 효제(孝悌)가 하늘의 섭리를 바탕으로 열린 보편적 자아실현을 위한 천륜의 덕목이라면, 충성(忠誠)은 섭리를 벗어나서 폐쇄적 자아를 회통하려는 인륜의 덕목이다. 인륜으로 바라보면, 극기복례는 공경을 발휘하여 타자의 넓은 세계와 회통하려는 것이다.
이처럼 의상의 일승법계에서는 유식학파와 법장의 화엄사상에 없었던 중도의 개념을 이끌어낸다. 그 내용은 일승원교와 삼승별교의 중도를 회통함이며, 속제’와 ‘제일의제’의 중도회통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모든 가르침은 일승원교의 의미로 승화될 수 있고,말로 표현된 일승원교는 증득한 경지로 승화된다. 극기복례의 효제(孝悌)는 가족의 유대를 통한 인격영생을 목적으로 하지만, 충성(忠誠)은 군신이나 이웃의 유대를 통한 광생(廣生)을 목적으로 한다. 광생은 ‘두루 통하여 편당을 짓지 않는 것’으로, ‘내가 이루고자 하면 남도 이루는’ 일승법계와 회통한다.

The technology of modernized society has deepen the conflicts of mutual communication.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Uisang’s Middle Way, because he is not telling us directly the contents of whatever a certain Dharma world diagram has, but formally the way of thinking to view the relation between a language and enlightenment. This way of thinking is close to the method of Middle Way of Buddhistic doctrines. The reason of six twining forms is for the purpose of
viewing the world as it is. This method is useful to develope the mutual communication of universal teaching and peculiar teaching.
In twining the facts in the world, we can see the world in a form of complete combination. Such a world is called Hanyana Dharma world. And the way of thinking in this form is called by him Hanyana Dharma world of which the significance is interpreted as twining strifes. He names this way of Harmonious twining as completely combining all kinds of doctrines.
The is succinctly expressed as accomplished by the way of Middle Way. They had pursued to Etiquette Recovery by Overcoming Ego. They tried to show their advancement of their Royalty and Filial Piety to oriental countries. In this situation of Etiquette Recovery by Overcoming Ego, the discourse of Middle Way was easy to be used for the Harmonization of diverse thoughts. So the principle of Confucian doctrine can be harmonized by the Uisang’s Middle Way in the Dharma world diagram.
目次Ⅰ. 머리말 2
Ⅱ. 일승법계의 회통 3
1. 삼승과 일승의 상통 3
2. ‘수십전법’의 회통 5
Ⅲ. 극기복례의 회통 7
1. 충성과 효제의 상통 7
2. ‘횡단매개’의 회통 9
Ⅳ. 법계와 복례의 회통 11
1. 일승과 극기의 상통 11
2. ‘중도실상’의 회통 13
Ⅴ. 맺음말 14
참고문헌 15
ISSN20926553 (P)
ヒット数95
作成日2021.08.16
更新日期2021.08.2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141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