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육조혜능의 견성도리 연구=A Study on the Insight into the Original nature way of Dajian Huineng
著者 김용환 (著)=Kim, Yong-hwan (au.)
掲載誌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巻号v.19 n.1
出版年月日2013.06
ページ31 - 52
出版者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소속: 충북대 윤리교육과 교수
キーワード견성=The insight into the original nature; 이심전심=from mind to mind; 청정좌선=pure Zazen practice way; 대화상통=dialogue communication way; 화두타파=answering to zen question way; 돈오돈수=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
抄録『육조단경』에는 견성이라는 말이 자주 나온다. 육조혜능은 견성도리를 말하면서 성품에 입각한 수행을 참다운 수행으로 간주하였다. 우리가 견성도리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자성철견’(自性徹見)에 필요한 요건은 몸뚱이 좌선수행이나 마음 닦음이 아니라는 점이다. 견성도리는 먼저 청정좌선의 도리에 의해 몸뚱이 좌선에 묶인 마음을 해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견성도리에는 선지식과의 대화를 통한 대화상통이 중시된다. 단순한 대화가 아니라 이심전심으로 상통해야 한다. 선지식과의 만남, 그리고 질문과 답변을 통해서 단박에 자신의 본성을 돌이켜볼 때, 자성청정을 깨달아 더 이상 닦고 말고 할 것이 없음을 알아차리게 된다는 것이다. 대화상통의 도리는 수생(修性)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고 견성(見性)이라는 표현을 쓴다. 성품은 다만 보면 되는 것이지 닦을 것이 없기 때문이다.
육조혜능이 『금강경』이나 『육조단경』의 지송을 적극 권장한 것도 경전을 제대로 읽는 것도 선지식과의 대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대신 언어문자에 걸리지 않고 간절히 묻는 마음이 있고 남의 허물을 보지 않아야 된다. 남의 허물을 보면 다툼이 생기고, 다투면 자성청정에서 멀어진다.
따라서 육조혜능의 견성도리는 어떠한 사전 준비단계라든가 점차적 닦음을 전제하지 않고 화두타파를 그 목적으로 삼는다. 다만 화두타파 자체가 목적이며 방편이라는 것을 이해하여 화두참구(話頭參究)를 해가야 한다. 화두타파의 도리는 돈오돈수이다. 여기서 말하는 돈오돈수는 불오염수이며 부처지견을 공공세계로 활짝 펼치는 것이다. 화두참구는 견성을 위한 방편에서 출발하지만 화두타파로 매듭을 지워 견성으로 전환(轉換)한다.
따라서 견성도리는 수행이라기보다 바로 ‘지금 여기’에서 항상 깨어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청정자성을 끊임없이 지향하는 도리라고 요약할 수 있다. 결국 육조혜능의 견성도리를 통하여, 우리는 청정좌선의 도리를 자각하여 몸뚱이 좌선에 사로잡힌 수행태도에 변화를 주고, 경전을 통해서라도 선지식과 끊임없는 대화상통의 길을 열어가며, 마침내 방편이 바로 목적으로 대전환하는 돈오돈수의 도리를 올바로 파악할 수가 있는 것이다.

The sixth ancestor, Dajin Huineng(618-713) is preeminent figure of China's Zen heritage from mind to mind.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about Huineng's life is a text of his teaching known as the Platform Sutra. From a religious standpoint, the text expounds and supports the "sudden" nature of Zen enlightenment. The insight into the original nature way had been stressed over and over again by way of pure Zazen practice way, dialogue communication way and answering to zen question way.
As for the few examples of the insight described in the Platform Sutra, it is can be said that all needed for the insight is not the seating meditation nor the cultivation of mindfulness. The concerning to his bodily training or concentration of mind with the intentional effort to get rid of delusion is noting but a effort to be a non-living being. Human mind is naturally of flux and moving. How could it be fixed to tranquillity like a piece of wood or a rock.
First, to get insight into his own nature, pure Zazen practice way is important. The original face of mind is just to be looked. The original nature transcends that kind of dualism. The observer is the observed. Also, the Insight is the Nature itself. The original nature is pure and perfect.
Second, the dialogue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is also important. With his questioning and answering, he can take look back his original face suddenly. Nature is just to be seen, but not to be practiced because it is originally pure. It is thus Sudden Enlightenment. Dajian Hui-neng strongly recommend to read the Diamond Sutra and the Platform Sutra over again. To say again, the Sutra can be regarded as a training masters. To read carefully the sutra is to get the dialogue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s. When he came to be accepted by his master, it will be useless unless he ask for his questions earnestly. Thus, he has to keep his sincerity in mind before the encounter with his master. Next step to the insight into the nature will be looking away from the other’s shortcomings. We are needed to answer to zen question. The ultimate meaning is to get a insight into the nature. This does not some sequent steps. This is the way to the Sudden Enlightenment.
Thus, the insight described in the Platform Sutra can be regarded as the way to attain it. It means that the end and its way are not divided from each other, and the dualistic phenomenon can be harmonized in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 From this standpoint of view, we does not practice bodily training to attain the insight into the original nature. The insight can be pursued by itself such as pure zen practice way, dialogue communication way and answering to zen question way.
目次Ⅰ. 머리말 2
Ⅱ. 청정좌선의 도리 4
Ⅲ. 대화상통의 도리 10
Ⅳ. 화두타파의 도리 13
Ⅴ. 맺음말 18



ISSN20926553 (P)
ヒット数85
作成日2021.08.25
更新日期2021.08.2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204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