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관음신앙의 사회적 공공성 연구=A Study on the social publicity in the faith of Avalokiteshvara |
|
|
|
著者 |
김용환 (著)=Kim, Yong-hwan (au.)
|
掲載誌 |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
巻号 | v.22 n.1 |
出版年月日 | 2016.04 |
ページ | 5 - 21 |
出版者 |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충북대학교 교수 |
キーワード | 법화영험; 이근원통; 법화삼매; 관음신앙=Avalokiteshvara; 사회적 공공성=social publicity; Mahayana movement; path of wisdom; the path of method; bodhicitta |
抄録 | 관음신앙은 관세음보살 대상의 불교신앙이다. 고려말기 승려 요원이 법화경의 ‘영험담(靈驗談)’을 기록한『법화영험전』에 수록된 100여 편의 영험설화 가운데 3편이 신라와 고려의 영험으로 관음신앙에 대한 것으로 일상으로 생활화되었음이다. 관음신앙은 대비원(大悲院)·보통원(普通院)·제위보(濟危寶) 등의 구호사업의 공공성 실천의 배경이 되었다. 불교신앙 가운데 관음신앙은 자리이타로 나타난다. 관음신앙은『능엄경』을 통해 ‘이근원통(耳根圓通)’으로 육근청정으로 원통에 들어갈 수 있는 이치를 밝혀 관음신앙의 성립배경을 ‘자리수행(自利修行)’의 측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또한『법화경』의 ‘법화삼매(法華三昧)’에서는 중생고통을 듣고 대비의 원력을 완성하는 ‘방편이타(方便利他)’ 측면을 부각시킨다. 관음신앙의 사회적 공공성은 자리이타의 보편화가능성으로 보리심을 일깨우는 공공작용이 되어 지혜와 방편을 공공으로 매개하여 내재적 보편주의 관점에서 세계시민성 함양에 기여한다. 아울러 세계화에 따른 외재적 보편주의와 구별되는 세계시민교육으로 세계시민을 회통시킬 수 있다.
In the faith of Avalokiteshvara, we can find the great compassionate nature of the Buddha. It is manifested that the world is to see with sound as ordained novices and laymen such as householders, kings. With the help of Buddha eye, Avalokiteshvara knows directly, as they are, the individual nature, aspiration, potentiality by thousand armed and thousand eyed, the eleven faced and so forth in the samadhi with dharma effloresce. The faith of Avalokiteshvara has the meaning of the six syllable Mantra, Om-ma-ni-pad-me-hum. The syllable of Om represents the Form Body of a Buddha, and the last syllable Hum represents his Truth Body, Mani means wish fulfilling gem, symbolizing the pure Wisdom. The vowel E ending the word Padma has been described as a call to someone. The Avalokiteshvara shows us the dual path of wisdom and method by the jewel and lotus. Mahayana movement in Buddhism is based on the practice to be beneficient both myself and others, which is the essence of the practice of Bodhisattva. We can find the social publicity in faith of Avalokiteshvara to awaken bodhicitta to serve to self-profit and other-profit equally.
|
目次 | I. 머리말 2 II. 이근원통(耳根圓通)의 원리 4 III. 법화삼매(法華三昧)의 원리 9 IV. 관음신앙의 세계시민성 함양 11 V. 맺음말 14 |
ISSN | 20926553 (P) |
ヒット数 | 101 |
作成日 | 2021.08.27 |
更新日期 | 2021.08.27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