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삼법인(三法印)”과 동아시아 불교=“Three Seals of the Dharma” as a Term of East Asian Buddhism |
|
|
|
著者 |
이상민 (著)=Lee, Sang-min (au.)
|
掲載誌 |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
巻号 | v.89 n.0 |
出版年月日 | 2019.02.28 |
ページ | 101 - 134 |
出版者 | 한국불교학회 |
出版サイト |
http://ikabs.org/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고려대학교 철학과 강사 |
キーワード | 한역불교=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Terms; 삼법인=三法印=Three Seals of Dharma; 일법인=一法印=One Dharma Seal; 구마라집=鳩摩羅什=Kumarājīva; 천태=天台=Tientai |
抄録 | 본고는 삼법인(三法印)이라는 용어를 특히 동아시아 불교의 맥락에서 고찰한 연구이다. 본고의 고찰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근대 학계에서 연구된 법인의 원어는 이미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잘 알려진 내용이었다. 2) 삼법인이 동아시아 불교에서 처음 등장한 맥락을 살펴보면, 당 용어는 원어에 대한 충실한 번역이라기보다는 구마라집의 이해에 따른 의역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3) 이렇게 제시된 ‘법인’이라는 용어는 그 형태로 말미암아 일법인(一法印)과 대별되거나, 법인의 수를 줄이거나 늘리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동아시아 불교 담론 속에서 활용되었다. 4) 특히 삼법인이 소승의 설이라는 천태의 해석은 이후 동아시아 불교에서 지속적으로 전승되어 왔다. 5) 이와는 반대로 현장 문하의 법상종 계통 논사들은 삼법인, 그중에서도 무아(無我)의 교리가 소승과 대승을 관통하는 불교의 핵심 가르침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삼법인은 동아시아 불교로 수용되었고, 근대 학계의 이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삼법인에 대한 논의는 동아시아 불교사상이라는 지평 위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무엇보다 ‘법인=법의 인장’이라는 용어 자체가 인도 원어에 대한 충실한 번역어라기보다는 해당 개념에 대한 역자의 이해가 반영된 일종의 의역어라는 점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처럼 의역된 용어가 동아시아 불교에서 하나의 확고한 개념으로 자리잡게 되면서 인도불교에서는 가능하지 않았던 새로운 논의 또한 발생하게 되었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the term “Three Seals of the Dharma (三法印, Sanfayin)” in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Buddhism. The results of this artic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odern scholars have traced the term “Sanfayin(三法印)” to the Indian origin and established its original Sanskrit form as “*tri-dharma- uddhāna.” However, this fact seems nothing new to the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since texts written in 6th century China already acknowledged the term yin(印) was the translation of youtanna(優檀那=uddhāna). 2) The term “三法印” emerged in the translation works of Kumarājīva (334-413) for the first time. His rendering of the term uddhāna to the “印 (seal, sanction)” seems to be a liberal, or rather a literal, translation reflecting his understanding of the term. 3) Due to its Chinese form, the “三法印” has often been contrasted to another term of “One Dharma Seal(一法印, Yifayin) as the translation of “dharma-svabhāva-mudra” from the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This kind of comparison can only be possible in the field of East Asian Buddhism where the Sanskrit term “uddāna” and “mudra” had been translated to an identical Chinese form “印.” 4) Among various explanations of “三法印” in East Asian thoughts, Tientai Zhiyi(538?-597) claims it as the teaching of the Lesser Vehicles. His interpretation has been most widely spread and even influenced the thinking of today’s academia. |
目次 | Ⅰ. 들어가며 103 Ⅱ. ‘법인’에 대한 근대 연구와 동아시아 불교의 전승 104 Ⅲ. 관점 바꾸기: 동아시아 불교 용어로서의 삼법인 109 Ⅳ. 동아시아 불교문헌 속 삼법인의 이해 115 1. 삼법인과 일법인(一法印): 천태의 해석 115 2. 삼법인의 내용적 변화와 오법인(五法印)의 등장 121 3. 대승설로서의 삼법인: 현장계 법상종의 해석 125 Ⅴ. 마치며 128 |
ISSN | 12250945 (P) |
DOI | 10.22255/JKABS.89.4 |
ヒット数 | 328 |
作成日 | 2021.09.19 |
更新日期 | 2021.09.19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