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무상, 시간, 영원의 관계 -- 설일체유부와 유식학파를 중심으로 =Impermanence, Time, and Eternity -- With Reference to Sarvāstivādins and Yogācāras
著者 이은영 (著)=Lee, Eun-young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85 n.0
出版年月日2018.03
ページ189 - 218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강사
キーワード설일체유부=Sarvāstivādin; 유식학파=Yogācāra; 무상=Impermanence; 시간=Time; 영원=Eternity
抄録불교는 시간을 실체적인 존재가 아니라, 행(行)의 무상(無常)에 의지해서 나타나는 가상적인 것으로 본다. 그런데 행의 무상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불교 내의 견해가 달라진다. 설일체유부는 행의 무상을 실체적인 존재인 유위법의 변화로 해석한다. 시간을 벗어나려면 시간이 의지하고 있는 유위법 자체를 벗어나야 한다. 무위법도 역시 실체적이고 영원한 것으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시간과 영원의 관계는 각각 무상한 유위법의 영역과 무상하지 않은 무위법의 영역에 있는 것으로 나누어지는 이원론적(二元論的)인 것이다.
유식학파는 ‘행의 무상’을 ‘식(識)의 전변’으로 해석한다. 현행과 함께, 그것의 원인인 아뢰야식 내의 종자, 결과인 종자가 모두 현재 한 순간에 공존한다. 원인을 ‘과거’로, 결과를 ‘미래’로 지칭할 수는 있으나, 그러한 지칭에 대응하는 과거와 미래가 실재한다는 생각은 그릇된 시간관념이다. 영원은 이 그릇된 관념을 벗어날 때 얻어지는 것이지 무상한 행 자체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시간과 영원은 그것이 모두 무상한 의타기의 현상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지만,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도 않다. 따라서 유식학파에서 시간과 영원의 관계는 불일불이론적(不一不異論的)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Sarvāstivādins and Yogācāras understand time and eternity. According to Sarvāstivādins, time is not a substance, but a phenomenon created by saṃskṛta dharmas (有爲 法, conditioned dharmas). They assert that we should escape from saṃskṛta dharmas, if we want to transcend time. They also believe that asaṃskṛta dharmas (無爲法, unconditioned dharmas) are eternal substances. Sarvāstivādins’ theory of time-eternity is one of dualism that acknowledges the impermanence of saṃskṛta dharmas and the eternality of asaṃskṛta dharmas.
On the other hand, Yogācāras assert that the world we see is nothing but the manifested phenomena created by our consciousness. Time is a vague concept created by our consciousness, based on the imaginary self and dharma, which comes from our misunderstanding of impermanence. Therefore, to be free from time is not to be free from impermanence, but from wrong thinking. Time and eternity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ense that they are both based on impermanent phenomena, but are not the same in the sense that wisdom perceives eternity, while ignorance perceives time. Time and eternity are neither the same nor different.

目次Ⅰ. 머리말 191
Ⅱ. 무상의 이중성, 역동성 192
Ⅲ. 설일체유부: 시간과 영원의 이원론 196
Ⅳ. 유식학파: 시간과 영원의 불일불이론 202
Ⅴ. 청정한 시간의 회복 211
Ⅵ. 맺음말 213
ISSN12250945 (P)
ヒット数144
作成日2021.09.21
更新日期2021.09.2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375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