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만화(萬化) 희찬(喜贊)과 오대산 총림화=A Study on Seon Master Manhwa Heechan and His Contribution to Mt. Odae’s Expansion into a Full-scale Buddhist Temple Complex
著者 고영섭 (著)=Ko, Young-seop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80 n.0
出版年月日2016.12
ページ437 - 475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서울) 불교학과 교수
キーワード萬化 喜贊=Seon Master Manhwa Heechan; 월정사 중창 상량문=A prayer on the house-raising ceremony for the reconstruction of Woljung Buddhist temple=月精寺重創上樑文; 眞性=True suchness; 天道=the Way of Heaven; 十玄=Ten profound principles of dependent arising; 六相=Six characteristics of conditioned phenomena; Woljeong Buddhist Temple
抄録이 논문은 강원도 오대산 총림화를 통해 오대산문의 기반을 다진 만화 희찬(萬化喜贊, 1922~1983)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백두 대간에서 뻗어나온 강원도 오대산은 대한시대에 들어 한암(漢巖)과 지암(智 庵), 탄허(呑虛)와 만화(萬化)에 의해 전통불교를 복원하고 오대산의 총림화 기반을 다졌다. 이 장대한 불사와 결사가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은 한암과 탄허를 계승하고 조술(祖述)한 만화 희찬에 의해서였다.
만화는 제자들로부터 “모든 것을 완비한 참다운 선승이자 학승이었으며, 가람 수호자이자 염불자로서 여법(如法)하게 의식을 수행하였던 참다운 수좌중에 으뜸 수좌”라고 평가를 받을 정도로 다면적인 정체성을 지녔다. 그것은 평생을 오대산과 함께 해온 그의 보살행에 대한 다면적인 평가로부터 비롯된 명명일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범주로 가둘 수 없는 그의 살림살이와 사고 방식에 대한 평가로부터 매겨진 이름이다.
만화는 「월정사 중창 상량문」에서 진성(眞性)의 선풍과 천도(天道)의 심등을 십현(十玄)의 교문과 육상(六相)의 교의로 대비시키고 있다. 이것은 그가 지향하고 추구해간 선풍(禪風)이자 심등(心燈)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시에 그가 나아가려 했던 한암의 일발선(一鉢禪) 가풍과 탄허의 향상일로(向上一路) 가풍의 통섭(通攝)이자 화통(和通)으로 읽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만화는 납자의 선풍발양과 도인의 심등 상속을 발원하고 육상(六相)의 교의의 분명함과 십현(十玄) 의 교문의 드러남을 대비시키며 자신의 선풍과 심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이를 통해 한암의 주선종교(主禪從敎)와 탄허의 주교종선(主敎從禪) 가풍을 자신의 선풍과 심등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으로 화회시키고 있다.
이처럼 만화는 상원사 선원의 복원과 인재 불사 및 월정사 강원의 복원과인재 불사를 통해 그의 모범이었던 한암과 탄허를 넘어서는 제2의 한암과 제2의 탄허를 길러내고자 하였다. 그가 한암의 상원사와 탄허의 월정사를 아우르며 오대산을 총림화해 갈 수 있었던 근거는 곧 한암으로 대표되는 납자의 선풍을 발양하고 탄허로 대표되는 도인의 심등을 상속하려는 발원과 서원이었다. 그 결과 만화 희찬은 오대산 산문의 복원자이자 중창주이며 오대산 선문의 계승자이자 버팀목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and ideology of Seon Master and scholar Manhwa Heechan (1922–1983) who expanded the temples on Mt. Odae into a full-scale Buddhist temple complex. The Mt. Odae Buddhist temple complex is located on Mt. Odaeon the western slope of the Baekdu mountain range in Gangwon-do province. The foundations of this Buddhist complex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restoration movement of traditional Buddhism during the Daehan empire period (1897–1910) by Seon Masters Hanam (漢巖), Jiam (智庵), and Tanheo (呑虛). However, without the contribution of Seon Master Manhwa Heechan, who devoted his life to following the lineage of his Mt. Odae forefathers, the large-scal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buildings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of monk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His disciples claim Seon Master Manhwa Heechan as one of the most authentic Seon Masters and scholars; he was a meticulous and true practitioner of Buddhism with an excellent understanding of rites, chanting, and temple management. His reputation represents not only his life-long practice of bodhisattva on Mt.
Odae, but also his way of life and ideology, which cannot be categorized by any given criteria.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his "A prayer on the house-raising ceremony for the reconstruction of Woljung-sa Buddhist Temple," he juxtaposed the Seon style of true suchness, and the inner light in everyone’s mind with the ten profound principles of dependent arising and the six characteristics of conditioned phenomena in Huayan philosophy. Through this comparison, we are able to understand Seon Master Heechan’s Seon style and the inner light he had in mind for his practice.
At the same time, we can see that this was his version of an interpretive approach regarding Hanam’s “One-bowl Seon” and Tanheo’s practice of “advancing along the road that leads upward to enlightenment,” as well as his effort to integrate them. In this way, he combined Hanam’s Seon-centric doctrine and Tanheo’s Sutra-centric doctrine.
What Seon Master Manhwa Heechan truly intended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re-opening of the meditation school, and the monk’s academy was to foster second-generation leaders of Buddhism whose awakening could reach, or even surpass, the level of Seon Masters Hanam and Tanheo, who were his examples. The reason he was able to combine and transform temples, such as Seon Master Hanam’s Woljung Buddhist Temple and Seon Master Tanheo’s Sangwon Buddhist Temple, on Mr. Odae into a full-scale Buddhist temple complex can be summarized as his vow and wish to inherit Hanam’s enlightenment and Tanheo’s inner light. Consequently, he was acknowledged both as the person who restored the Mt. Odae Buddhist temple complex anda successor of the Seon tradition of Mt. Odae descendants.
目次Ⅰ. 문제와 구상 439
Ⅱ. 만화의 살림살이와 오대산 주석 442
1. 월남과 상원사 정착 442
2. 출가 및 한암과 탄허 시봉 443
Ⅲ. 오대산의 복원과정과 만화의 역할 445
1. 상원사 복원 불사와 인재 결사: 삼본산 승려 연합 수련소(1936~1940년초) 참여 445
2. 월정사 복원 불사와 인재 결사: 오대산 수도원(1956.4.1.~1958.11) 지원 449
Ⅳ. 오대산 선문의 계승자와 버팀목 462
1. 한암 중원의 一鉢禪 가풍 계승 462
2. 탄허 택성의 向上一路 가풍 계승 465
3. 만화 희찬의 眞性 禪風과 天道 心燈 466
Ⅴ. 만화의 사고방식과 오대산 산문화 468
1. 오대산문의 토대와 기반 확립 468
2. 납자의 선풍 발양과 도인의 심등 상속 469
Ⅵ. 정리와 맺음 471
ISSN12250945 (P)
ヒット数175
作成日2021.10.04
更新日期2021.10.0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422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