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기혼여성의 명상상담 프로그램 참여 경험 --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in Meditation Counseling Programs |
|
|
|
著者 |
김영미 (著)=Kim, Young-mi (au.)
|
掲載誌 |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
巻号 | v.79 n.0 |
出版年月日 | 2016.09 |
ページ | 347 - 380 |
出版者 | 한국불교학회 |
出版サイト |
http://ikabs.org/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석박통합과정 |
キーワード | 기혼여성=Married women; 명상=Meditation; 알아차림=Mindfulness; 명상상담 프로그램=Meditation counseling program;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study |
抄録 |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기혼여성의 명상상담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명상상담 프로그램 7회기 이상을 참여한 기혼여성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축어록은 Colaizzi 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의 범주 (categories), 8개의주제 모음 (theme clusters), 20 개의 주제 (themes)가 도출되었다. 범주는 크게 ‘참여 동기’, ‘경험 내용’, ‘의미 부여’이다. 명상상담 프로그램 참여 동기는 크게 ‘삶에서 느낀 힘겨움’, ‘ 명상상담에 대한 기대’로 나타났다. 경험 내용은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 ‘고통과의 새로운 관계 설정’, ‘크고 작은 위기와 좌절’, ‘동료들과의 공동 치유’, ‘수용과 소통을 통한 성장’등이 있었다 . 프로그램에 대한 의미 부여는 ‘돌봄과 알아차림의 계기’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집단 명상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혼여성들의 생생한 체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명상상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보다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experiences of five married women who have participated in meditative therapy. In this study, at least three in-depth interviews were done with each of the five participants, an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their full knowledge and consent.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method of data analysis. This data was divided into: 3 categories, 8 theme clusters, and 20 themes. The three categories are: 1) motives for participating, 2) content of experiences, and 3) assigning meaning. The eight theme clusters are: 1) past hardships in life, 2) expectations of meditation counseling, 3) a deep understanding of self, 4) establishing new perspectives toward hardships, 5) crisis and frustration 6) collaborative healing with other participants, 7) maturity through acceptance and communication, and 8) opportunities for self care and mindful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tends our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by married women in meditative counseling. |
目次 | Ⅰ. 서론 34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49 2. 연구문제 353 Ⅱ. 연구방법 353 1. 연구참여자 선정 353 2. 명상상담 프로그램 354 3.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355 4. 자료분석 및 타당성 확보 356 Ⅲ. 연구결과 357 1. 삶에서 느낀 힘겨움 357 2. 명상상담에 대한 기대 360 3.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 363 4. 고통과의 새로운 관계 설정 365 5. 크고 작은 위기와 좌절 367 6. 동료들과의 공동 치유 369 7. 수용과 소통을 통한 성장 371 8. 돌봄과 알아차림의 계기 372 Ⅳ. 논의 374 Ⅴ. 결론 및 제언 376 |
ISSN | 12250945 (P) |
ヒット数 | 124 |
作成日 | 2021.10.05 |
更新日期 | 2021.10.05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