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원효의 三性說을 통한 空有사상 종합=A Study on the Synthesis of Emptiness and Existence Thought by Wonhyo’s One Mind and Two Gates Theory
著者 이정희 (著)=Lee, Jeong-hee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78 n.0
出版年月日2016.06
ページ377 - 413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前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연구교수
キーワード공유논쟁=Argument about ‘emptiness and existence’; 변계소집과 의타기성=Pervasive discrimination and nature of dependent arising; 원효=Wonhyo; 일심이문=One Mind and Two Gate; 통합=Integration
抄録5세기 청변과 호법으로부터 시작된 空有의 논쟁은 불교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일체 존재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으로, 불교사상의 근본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공유논쟁의 핵심적 쟁점은 三性 중 의타기성이 有 인가 空인가하는 것이다. 청변은 의타기성을 공이라고 주장하지만 호법은 의타기성이 변계소집의 의지처로서 실재적인 유라는 입장이다. 이러한 논쟁은 7세기 동아시아 불교에까지 이어져 관심과 주목의 대상이 된다. 실제로 공유 논쟁은 세계를 공으로 해석하는 중관과 그것을 識으로 파악하는 유식간의 충돌이다. 원효는 이와 같은 쟁론이 공과 유에 치우친 그릇된 집착이라고 비판한다. 공과 유는 대립관계가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순환관계라는 것이다. 원효는 공과 유를 진여문과 생멸문이라는 一心 二門으로 포섭하여 상호 보완관계로 통합한다. 원효의 이러한 공유관은 『기신론』의 일심 설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일심은 眞妄 染淨 등 일체를 수용하여 역동적으로 작용하는 총체성이다. 일심 중 진여는 무명의 바람에 의해 일체 생멸현상으로 전개된다는 것이 기신론설이다. 따라서 진여와 생멸은 서로 다른 별체가 아니라 함께 작용하는 동체라는 것이다. 원효는 이를 근거로 유무논쟁의 중심이 되는 의타기성을 생멸문으로 포섭하고, 변계소집성을 진여문으로 포섭하여 일심으로 통합한다.
이러한 변계소집과 의타기성은 진여문과 생멸문에 서로 관련되면서 끊임없이 순환한다는 것이 원효의 해석이다. 원효는 유무의 논쟁을 대립이 아닌 통합으로 전환시킴으로서 불교사상사에 의미 있는 변화를 불러온다.

The debate on the argument about ‘emptiness and existence’ that started around 5th century between Bhāviveka (淸辯) and Dharmapāla (護 法) has a very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Buddhism. The debate was a different interpretation on the all existences which i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Buddhist thought. The core dispute of the argument about ‘emptiness and existence’ is the interpretation of the nature of dependent arising (paratantra-svabhāva; 依他起性). Bhāviveka insists that it is empty while Dharmapāla insists that it is existent as the supporting basis of attachment to all-pervasive discrimination (遍計所執).
This argument continued to 7th century and drew the attention in the East-Asian Buddhism. Actually the argument about ‘emptiness and existence’ is the collision between the theory of 'conscious-only' which regards the world as existence and ‘contemplation of middle way’ which regards world as emptiness. Wonhyo criticizes this argument as one-sided attachment to the extreme view of ‘emptiness and existence’. Wonhyo emphasizes that ‘emptiness and existence’ are not confrontational but they are mutually interactive and circulatory relation.
Wonhyo combines both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 with One Mind and Two Gates (一心二門). The Two Gates are the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and the true Suchness aspect of the mind.
Wonhyo’s view on ‘emptiness and existence’ is based on the theory of One Mind explained in the teaching of the Awakening of Faith. One Mind is the totality that functions dynamically, embracing all such as truth and falsity, purity and impurity, and etc. So, according to the Awakening of Faith, Suchness develops or unfolds into the all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by the wind of ignorance. Accordingly, the true Suchness and the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are not different entity but the same body that functions together. Wonhyo, on the basis of this theory, integrates with the Two Gates by embracing the nature of dependent arising, the key issue of the dispute, into the gate of arising and ceasing while embracing the pervasive discrimination into the gate of Suchness.
Wonhyo interprets that the pervasive discrimination and dependent arising interconnect to the gate of Suchness and the gate of arising and ceasing, thus circulating continuously. Wonhyo led the argument about ‘emptiness and existence’ to the integration instead of confrontation and drew the significant change in the history of Buddhism.
目次Ⅰ. 서언 379
Ⅱ. 공유논쟁의 전개 381
1. 공유논쟁의 근거 381
2. 중관학파와 유가학파의 공유논쟁 383
3. 명칭과 의미로서의 공유 논쟁 385
4. 공유논쟁의 전개와 원측의 중도적 공유관 389
Ⅲ. 원효의 공유관 392
1. 원효의 화회적 공유관 392
2. 삼성설을 통한 공유관 395
3. 삼성과 공유의 순환성 397
Ⅳ. 원효의 공유사상 종합 400
1. 일심이문과 공유의 융합 400
2. 일심 이문으로 포섭하는 ‘변계소집성’과 ‘의타기성’ 403
Ⅴ. 결어 408
ISSN12250945 (P)
ヒット数105
作成日2021.10.07
更新日期2021.10.07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444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