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한국 고대불교의 토착화와 구심화 -- 融和와 敎化를 중심으로 =The Naturalization and Centripetalization of Ancient Buddhism of Korea -- Focusing on Harmony and Reformation
著者 고영섭 (著)=Ko, Young-seop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75 n.0
出版年月日2015.09
ページ145 - 183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キーワード고유신앙=Unique religion; 토착신앙=Indigenous religion; 천신신앙=Gods of heaven religion; 산신신앙=Mountain spirit religion; 무속신앙=Shamanism; 융화=Harmony; 교화=Reformation; 토착화=Naturalization; 구심화=Centripetalization
抄録이 논문은 불교의 한국 토착화와 구심화 과정을 ‘융화’와 ‘교화’의 관점에서 살핀 글이다. 이미 오래 전에 이 땅에 토착화하고 구심화해 온 한국불교가 대한시대(1897~통일이전) 이래 서양종교의 공격적 선교전략으로 주류에서 밀려나면서 다시 토착화와 구심화 및 대중화를 고민해야 할 때가 되었다. 한국고대에 새로운 사회적 현상으로서 전래한 불교는 고유의 토착신앙인 천신신앙과 산신신앙 및 이들 신앙과 융화한 무속신앙과 대립하면서 갈등하였고 융화하면서 교화하였다.
불교는 전래와 수용과 공인의 과정을 통해 천신신앙과 산신신앙 및 무속신앙과 대립하고 융화하면서 교화해 왔고 나아가 도교와 유교와도 갈등하면서 서로 융화해 왔다. 불교 전래 이후 사찰의 건축구조 내에서 상당-중당-하당이 보여주듯이 천신신앙과 산신신앙 및 무속신앙은 전통적 三才思想의 구조를 견지해 오고 있다. 비록 불교에게 중심적 지위를 내어주기는 했지만 토착신앙의 기능과 역할은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이처럼 불교 역시 토착신앙인 천신신앙과 산신신앙과 무속신앙뿐만 아니라 도교와 유교와 ‘融和’하며 공존해 왔다. 불교가 한국의 토양에 토착화 할 수 있었던 것은 다른 종교의 문화적 과정을 적대하지 않고 해당 종교의 진리성을 수용하는 불교의 포괄주의적 입장과 태도를 견지해 왔기 때문이었다. 동시에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며 받아들이는 불교 특유의 포용성과 관용성에 힙입은 것이었다. 그리하여 현세와 내세의 복을 기원하는 미륵신앙과 관음신앙 및 아미타신앙 등과 같은 불교신앙이 널리 확산될 수 있었다. 그 결과 불교는 토착신앙들과 융화하면서 교화해 올 수 있었고 도교와 유교와 융화하면서 공존해 올 수 있었다. 불교는 이러한 ‘융화’의 지혜와 ‘교화’의 자비를 통하여 이 땅에 깊이 뿌리를 내릴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 고대불교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서 ‘지혜’를 통한 ‘융화’와 ‘자비’를 통한 ‘교화’로 천신신앙과 산신신앙 및 무속신앙과 도교와 유교와 융화하고 공존할 수 있었다. 때로는 한국의 토착신앙을 물리치거나 융화하면서 때로는 한국의 고유 신앙을 깨우치거나 교화하면서 ‘한국불교’로 토착화할 수 있었다. 많은 연구자들이 한국불교의 특성 혹은 성격을 ‘통합불교’ 또는 ‘종합불교’라고 일컫는 까닭은 ‘中道’ 즉 ‘正道’라는 불교 본연의 정신에 서서 통합하고 종합해 왔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Korean naturalization and centripetalization of Buddhism from the viewpoint of “harmony” and “reformation.” Korean Buddhism was naturalized and centripetalized in Korea long ago. It has been expelled from the main stream since the Daehan period (1897~until before unification) because of aggressive missionary work by Western religions. Now, it is time to worry about the naturalization, centripetalization and popularization again. Buddhism that was introduced as a new social phenomenon in ancient Korea has conflicted against, harmonized with and reformed unique indigenous religions such as the gods of heaven religion and the mountain spirit religion and shamanism, fusing these regions.
Buddhism has conflicted against, harmonized with and reformed the gods of heaven religion, mountain spirit religion and shamanism through the introduction, acceptance and official approval process.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s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temple shows in Sangdang-Jungdang-Hadang, the gods of heaven religion, the mountain spirit religion and shamanism have maintained the structure of traditional Samjae Thought. Although indigenous religions yielded the central position to Buddhism, their functions and roles have been maintained.
At the same time, Buddhism has harmonized with and coexisted with Taoism and Confucianism as well as the indigenous religions such as the gods of heaven religion, mountain spirit religion and shamanism. The reason that Buddhism could be naturalized in the soil of Korea was the comprehensive viewpoint and attitude of Buddhism that admitted the cultural processes of other religions without harboring antagonism against them. At the same time, the catholicity and generosity of Buddhism to admit and accept differences was helpful for the naturalization process.
In this way, the Buddhist belief that prays for fortune in this world and during one’s lifetime such as the Mireuk belief, the Gwaneum belief or the Amita belief could be widely expanded. As a result, Buddhism could harmonize with and reform indigenous religions and also harmonize with and coexist with Taoism and Confucianism. Buddhism became rooted deeply in Korea through the wisdom of “harmony” and the generosity of “reformation.”
The ancient Buddhism of Korea harmonized with and coexisted with the gods of heaven religion, the mountain spirit religion, shamanism, Taoism and Confucianism through the “wisdom” of “harmony” and “generosity” of “reformation.” It was naturalized as “Korean Buddhism” while defeating or harmonizing with the indigenous religions of Korea or enlightening or reforming them. The reason that many researchers call Korean Buddhism “integrated Buddhism” or “synthesized Buddhism” is that Buddhism has unified and synthesized o
目次Ⅰ. 문제와 구상 148
Ⅱ. 민간과 왕실의 불교 전래 150
Ⅲ. 고유신앙의 융화와 교화 154
1. 천신신앙의 융화 154
2. 산신신앙의 융화 159
3. 무속신앙의 융화와 교화 164
Ⅳ. 민간과 왕실의 불교 수용과 공인 167
1. 민간과 왕실의 수용 167
2. 왕실의 법제적 공인 170
3. 도교와 유교와의 공존 172
Ⅴ. 토착문화의 교화와 불교의 구심화 175
Ⅵ. 정리와 맺음 178
ISSN12250945 (P)
ヒット数158
作成日2021.10.19
更新日期2021.10.1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529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