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청소년을 위한 명상 프로그램에서 만족도 조사 연구 -- 봉인사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 있는 명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Youth in the Meditation Program -- In the Case of the Sangsang Meditation Program of Bongin-sa Temple |
|
|
|
著者 |
박서연 (著)=Park, Seo-yeon (au.)
;
김병수 (著)=Kim, Byoung-soo (au.)
;
박성식 (著)=Park, Seong-sik (au.)
|
掲載誌 |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
巻号 | v.75 n.0 |
出版年月日 | 2015.09 |
ページ | 357 - 391 |
出版者 | 한국불교학회 |
出版サイト |
http://ikabs.org/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박서연: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주저자 김병수: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연구교수, 교신저자 박성식: 동국대학교 분당병원 사상체질과 교수 |
キーワード | 청소년=Youth; 명상=Meditation; 상상 프로그램=Sangsang program; 만족도=Satisfaction; 관계성=Relationships |
抄録 | 본 연구는 2015년 6월 1일부터 4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경기도 남양주시 奉印寺에서 실시된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 있는 명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 있는 명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은 성별로는 여학생의 빈도가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고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유용성, 강사의 전문성, 강의 내용의 우수성 항목에 대한 만족수준이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프로그램 서비스환경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해서는 남녀 간에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에 지속적인 참가 의향’, ‘타인에게 추천 의향’ 등 프로그램 성과에 대한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만족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셋째, 프로그램 내용의 유용성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프로그램 내용이 상대적으로 더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프로그램에 지속적인 참가 의향’에서는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고, ‘타인에게 추천 의향’에서는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다. 넷째, 프로그램 환경의 쾌적함, 프로그램 신청 접수의 편리함, 편의시설(화장실, 휴게실 등) 이용의 편리함, 안내 표지판의 적절함 등이 프로그램 만족도를 결정하는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프로그램 내용의 유용성, 강사의 전문성, 강의 방법의 우수성, 요구사항에 대한 담당자의 친절성 등을 우수하다고 지각할수록 본 명상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가할 의향과 타인에게 추천할 의향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명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satisfaction of youth in the Sangsang (相想) meditation program. It is significant because it comprehensively reviews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Sangsang Meditation Program and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it. In modern society, many students do not adapt well to school life in our country. It is due to several factors: friendship, bullying, school violenc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learning problems. I tried to find the answers to these problems in the Sangsang Meditation Program. The Sangsang Meditation Program was carried out June 1 to 4, 2015, in the Bongin-sa temple located in Namyangju Gyeonggi-do. Target of this research was about 80 students includ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things were discovered. First, satisfaction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Seco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mportant in satisfaction: the physical comfort of the facilities, the ease of applying, the convenience of ameniti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signs. The study discovered that if some factors are excellent, students would be willing to participate often and recommend the program to others. These factors include: availability of the program, instructor expertise, excellence in teaching methods and kindness of teachers.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Sangsang Meditation Program in order for it to grow and meet students’ needs. |
目次 | Ⅰ. 서론 360 Ⅱ. 이론적 배경 364 Ⅲ. 연구 방법 372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372 2. 조사도구 372 3. 분석모형 373 4. 자료분석 방법 374 Ⅳ. 분석 결과 375 1. 응답자 특성 및 기술적 통계량 375 2.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 있는 명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377 3.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 있는 명상” 프로그램의 항목별 변인이 전반적 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381 Ⅴ. 결론 및 제언 383 |
ISSN | 12250945 (P) |
ヒット数 | 114 |
作成日 | 2021.10.19 |
更新日期 | 2021.10.19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