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문정왕후의 불교중흥정책=Buddhist Restoration Policies of the Queen Munjeong |
|
|
|
著者 |
김상현 (著)=Kim, Sang-hyun (au.)
|
掲載誌 |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
巻号 | v.56 n.0 |
出版年月日 | 2010.02 |
ページ | 25 - 52 |
出版者 | 한국불교학회 |
出版サイト |
http://ikabs.org/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동국대(서울) 사학과 교수 |
キーワード | 明宗=King Myeongjong; 文定王后=Queen Munjeong; 普遇=Master Bou; 禪敎兩宗=Seon and Kyo Schools; 僧科; 度僧; The state examination for recruiting a Buddhist monk; Certification of a Buddhist monk |
抄録 | 조선시대의 불교 탄압이 그 절정에 달한 시기는 연산군 때였다. 연산군 10년(1504) 윤 4월에 도첩제가 혁파되고, 7월에는 禪敎兩宗의 본산인 흥천사와 흥덕사를 폐쇄함으로써 선교양종이 멸실되고, 이 해는 僧科 시행의 式年이었지만 승과 또한 시행하지 못했다. 중종은 승과를 폐지했고, 11년(1516)에는『경국대전』 度僧條를 삭제했다. 이처럼 멸절의 위기에 처해 있던 불교는 明宗(1545-1567) 때에 다시 중흥의 계기를 맡게 되었는데, 당시 불교 중흥의 중심에는 文定王后와 普遇가 있었다. 문정왕후가 시행한 불교 중흥책은 일차적으로는 그의 확고한 불교신앙에 토대한 것이지만, 단순히 개인의 신앙을 정책으로 실현한 것은 아니다. 戚臣세력의 동의와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고, 여기에는 사림파의 독주를 견제하려는 정치적 의도도 작용했다. 그리고 빗발치는 비판과 견제에도 흔들림 없이 불교 중흥정책을 시행하고 보우에 대한 온갖 비방과 모함 이 난무해도 끝까지 그를 신뢰하며 그에게 중책을 맡길 수 있었던 것은 그의 강한 성격과 추진력 덕분이었다. 선교 양종을 부흥케 하고 승과를 실시 했으며, 4천여 승려에게 도첩을 주고 여러 고을의 300여 청정 사찰을 높임으로서 50년이나 말라 비뚤어진 보리수가 다시 무성하게 되었다고 할 정도로 문정왕후의 불교 중흥은 그 역사적 의의가 있다. 그리고 당시에 실시했던 승과에서 西山이나 四溟 같은 고승이 배출되어 불교의 絶滅을 면할 수 있게 해 준 것도 중요한 의의라고 하겠다. 그러나 불교계 입장에서 보면, 불교계 스스로의 노력이나 주도에 의해 불교 중흥의 계기를 마련한 것이 아니라 권력자 문정왕후의 결단에 의해 그기회가 주어졌던 것이기에 근본적인 문제가 남아 있었다. 조신들과 유생들 이 불교 중흥을 극단적으로 비판하고 방해하고 있던 그 무렵에도 불교계는봉은사 주지 보우를 모함하거나 선종과 교종은 서로 갈등을 빚기도 했다. 승려 一觀이 명종 8년(1553)에, 그리고 승려 仙氣가 명종 9년에 각각 보우를 비방하고 모함했다. 僧科가 실시되자 大選에 합격한 양종의 승려들은 서로 높고 낮다고 하면서 갈등을 빚기도 했다. 명종 20년(1565) 문정왕후 죽고 100일도 되기 전에 보우는 제주도에 유배되고 제주목사에 의해 주살되었다. 불교계는 조용했다. 이듬해 양종과 승과마저 혁파되었다. 그래도 불교계는 조용했다.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most strongly suppress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 In the 10th year (1504) of King Yeonsan’s era, the government conducted Buddhist suppression policies; the certification system of a Buddhist monk was abolished in the 4th month of the leap year, Heungcheonsa and Heungdeoksa Temples were closed down in July so that Seon and Kyo schools became extinct, and the state examination for recruiting a Buddhist monk was canceled even though it was a regular session of the examination. The examination was eventually abolished by King Jungjong. In the 11th year (1516) of King Jungjong’s era, the article of certification of a Buddhist monk in Gyeonggukdaejeon (the constitution of the Joseon Dynasty) was deleted by the King. Despite this strong suppression from the government, many anti-Buddhist policies were repealed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he Queen Munjeong, whose son was the King, and master Bou led the restoration of Buddhism. Buddhist restoration policies of the Queen Munjeong were initially derived from her sincere belief but there were other intentions under the conduct of the policies. The fact that establishment and conduct of the Buddhist restoration policies were supported by the maternal royal family members shows us that there was a political intention to prevent the Sarim faction from abusing power. The Queen Munjeong trusted master Bou since he had a strong drive and mind. Master Bou successfully conducted Buddhist restoration policies in spite of all kinds of condemnations and slanders. He revived Seon and Kyo schools, and restored the state examination for recruiting a Buddhist monk. He certified approximately 4000 Buddhist monks and established about 300 temples in many towns. Due to these Buddhist restoration works at the time, Buddhist society could have an important chance to recover their religious influence. The restoration of Buddhism by the Queen and master has a great significance in Korean History. Master Hyujeong and master Ujeong who kept Buddhism from extinction were selected at the state examination which was restored at the time. But the fact that the restoration work was led by the Queen, who took control of the government in the stead of her young son, not by Buddhists themselves proves there was still a fundamental problem in the Buddhist society. Master Bou was blamed not only by government officials and Confucianists but also by Buddhists. And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Seon and Kyo schools. Monk Ilkwan blamed master Bou in the 8th year (1553) of King Myeongjong’s era, and monk Sang-gi spattered master Bou with slander in the next year. The state examination for recruiting a Buddhist monk also caused conflicts between monks from Seon and Kyo schools. When those monks passed the e |
目次 | I. 머리말 26 II. 문정왕후의 수렴청정 27 III. 문정왕후의 불교신앙과 보우 발탁 30 IV. 문정왕후의 불교중흥 36 V. 불교계의 상황 42 VI. 맺는말 46 |
ISSN | 12250945 (P) |
ヒット数 | 297 |
作成日 | 2021.11.19 |
更新日期 | 2021.11.19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