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근대 일본불교의 한반도 유입의 초기 전개 양상 -- 통감부통치 시기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Inflow of Modern Japanese Buddhism into Korea in the Initial Stage -- With Reference to the Japanese Resident General Reign |
|
|
|
著者 |
원영상 (著)=Won, Yong-sang (au.)
|
掲載誌 |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
巻号 | v.87 n.0 |
出版年月日 | 2018.08.31 |
ページ | 347 - 371 |
出版者 | 한국불교학회 |
出版サイト |
http://ikabs.org/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원광대학교 정역원 연구교수 |
キーワード | 불근대=Modern Japanese Buddhism; 일본불교; 식민지=colonization; 圓宗=Wonjong; 종교의 선포에 관한 규칙; 皇道佛敎化; 정토진종; 조동종; Sano Jenlay=佐野前勵; Tonggambu=Japanese resident general; Hwangdo=皇道 |
抄録 | 본 연구는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에 관한 초기 단계의 모습을 조명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견해는 순수한 불교 포교와 식민지 건설을 위한 사전 역할이라는 점으로 나누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해방 후 일본의 거의 모든 사찰이 철수함으로써 식민지 통치와 일본불교가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구체적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한 사안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필자는 근대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 초기의 모습을 네 가지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후에 圓宗 사건과도 연동되는 사노 젠레이(佐野前勵)에 의한 승려의 도성출입금지 해제의 건이다. 둘째는 국내 개화파들과 관계한 오쿠무라 엔신(奧村圓心)의 정토진종 오오타니파(大谷派) 부산별원의 활동이다. 셋째는 明進學校를 설립한 불교연구회의 조직이다. 넷째는 식민지기에 博文寺를 맡게 된 조동종과 근대 최초의 불교종단인 원종의 맹약이다. 이처럼 초기 일본불교인들과 불교계의 활동은 한일병합 이후에도 한반도 불교정책과 깊은 관련을 갖게 된다. 1905년 을사조약 후 통감부는 「종교의 선포에 관한 규칙」과 같은 포교 규제를 통해 일본종교를 통감부의 관할 하에 둔다. 여기에는 한국불교를 일본사원에 통폐합하고자 하는 의도도 담겨 있다. 이는 결국 메이지(明治)유신 이후 神佛分離 정책을 통해 불교계를 통제하고자 했던 정책과도 유사하다. 이 규칙은 총독부의 「사찰령」으로 계승되고, 1909년 진종 본원사파의 말사로 등록된 사찰이 100여 개소에 이르렀다는 점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식민지 초기의 일본불교의 포교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脣齒 관계를 활용한 식민지 포교가 우선이었다. 둘째, 식민통치를 위한 皇道佛敎化와 관계가 깊다는 점이다. 셋째로는 政敎一致를 이용해 식민지화에 일본불교계가 앞장섰다는 점이다. 이러한 목표와 실천은 한 마디로 식민지 사업의 일환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일본불교계 스스로가 국내에서 戰時敎學을 창안함으로써 국가의 대외팽창에 복무한 것처럼 완전한 식민통치를 위해 일본불교를 통해 한국인과 한국불교를 통제하고자 했던 총독부의 통치 기반을 구축하는 과정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ate of the initial stage of the inflow of Japanese Buddhism into Korea. So far, the views on it are divided into pure propagation of Buddhism and the preliminary role of colonization. Consequently, the point was revealed that the colonial rule and Japanese Buddhism were closely related upon the withdrawal of all Japanese temple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Nevertheless, the investigation of the concrete characteristics of this point is one of important issues.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the aspects of the inflow of modern Japanese Buddhism into Korea should be viewed from four points. First, the release of no entrance of Buddhist monks into the capital city, ordered by Sano Jenlay (佐野前勵) is linked with Wonjong (圓宗) affair. Second, the activities of Busan branch of O-otanipa (大谷派), Jeongtojinjong of Okumura Ensin (奧村圓心), is related with the domestic enlightenment party of Korea. Third, the organization of Buddhism research institute is rel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yungjin School (明進學校). Fourth, we should consider a pledge between the Jodongjong Order, which took over the Bakmunsa (博文寺) during the colonial era and the Wonjong Order, the first religious order of modern Korean Buddhism. This way, the activities of Japanese Buddhists of the initial stage and their Buddhist institu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Korean Buddhist policy after the Japan-Korea treaty. After the Japan-Korea treaty in 1905, the Tonggambu (Japanese resident general) put Japanese religion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 resident general through the propagation control documents such as 「A Regulation of Propagation of Religion」. This included the intention to integrate Korean Buddhism into Japanese temples. This, eventually, was similar to the policy to control Japanese Buddhism through Sinbulbunri (神佛分離) after the Meiji (明治) restoration. This regulation was succeeded into the 「Temple ordina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this is revealed well by the fact that the number of temples registered as the Malsa temples of the religious order of the Jinjong Bonwon reached around 100 in 1909.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agation of Japanese Buddhism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colonial era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pagation of the colony with the utilization of the relation of Sunchi (脣齒) was the priority. Second,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Buddhist edification of Hwangdo (皇道) for the colonial rule. Third, Japanese Buddhism took the lead of the colonization by utilizing Jeonggyoilchi (the unity of church and state, 政敎一致). Such goals and practices were, in short, a part of the coloniza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is was a process to establish the base of the rule of government general, which intended to control Korean people and Korean Buddhism through Japanese Buddhism to accomplish a perf |
目次 | Ⅰ. 시작하는 말 350 Ⅱ. 근대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 초기의 모습 352 Ⅲ. 통감부 하의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 357 Ⅳ. 근대 일본불교의 한반도 초기 포교의 성격 361 Ⅴ. 맺는말 366 |
ISSN | 12250945 (P) |
ヒット数 | 98 |
作成日 | 2021.12.21 |
更新日期 | 2021.12.21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