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티벳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나타난 불교사의 과제 -- 나란다사 복원의 가능성을 중심으로=A Subject of Restoring Nālanda University as a Result of Considering Generality and Specialty of Tibetan Buddhism
著者 정성준 (著)=Cheong, Seong-joon (au.)
掲載誌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巻号v.40 n.0
出版年月日2014.02.28
ページ95 - 121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サイト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강사
キーワード불교사=History of Buddhism; 티벳불교=Tibetan Buddhism; 나란다사=Indian Buddhism; 뵌교; 삼예사=Samye Temple; 달라이라마=Dalai Lama; 겔룩빠; Nālanda University; Bon po
抄録티벳불교는 불교가 처음 도입될 당시 인도불교와 중국불교의 양 계통이 동시에 유입되어 유행하였다. 티송데첸왕 치세에 이루어진 삼예사의 논쟁이후 티벳은 인도불교를 수용하면서 산스끄리뜨 불교경전을 번역하기 위해 티벳문자와 문법, 번역규칙을 마련하였다. 티벳경전이 인도원어 경전의 원의를 가장 충실하게 계승하게 된 내력은 이와 같다. 또한 티벳사원은 나란다를 비롯한 인도승원의 체제를 계승하여 설립되었다. 티벳불교는 사원체제를 통해 문헌과 사원조직의 양면에서 명실상부하게 인도불교를 계승하였다고 볼 수 있다. 티벳불교는 인도불교의 전승 이후 종파불교가 형성되고 토속종교인 뵌교와의 습합과 달라이라마의 정치제도 등 티벳불교 고유의 특수성을 보이지만 인도불교와의 관계에서 볼 때 인도에서 사라진 나란다사 이외의 전통사원을 복원할 수 있는 가장 많은 단서를 내포하고 있다. 티벳불교는 테라바다를 비롯해 대승불교의 전통으로서 인도불교 전체의 보편성을 역사적으로 계승하고, 동시에 티벳의 토양과 정치사회, 문화에서 보이는 특수성을 발전시키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When the Buddhism was firstly adopted to Tibet the tradition of Indian Buddhism and Chinese Buddhism was flourished simultaneously but under the rule of the King Tri song de chen Indian Buddhism was accredited as unique and orthodox Buddhism in Tibet. Consequently the Tibetan letter and grammatical rule was invented for the purpose of interpreting Sanskrit scripture of Indian Buddhism and the monastic system was established in Samye Monastery based on the Indian Buddhist monastery like Nalanda Monastic University. Tibetan Buddhism has succeeded the Indian Buddhism which is vanished in Indian peninsula today. Tibetan Buddhism show some unique religious factors like unification of Bon po, sectarian Buddhism and the political and religious system of reincarnation of Buddhas especially like Dalai Lama. These specific aspects of Tibetan Buddhism comes from Tantric Buddhism originated from Indian Buddhism but Tibetan Buddhism possesses many factors that enable the reestablishment of Nalanda Buddhist Monastery which can represent a valuable spirit of Buddhism.
目次Ⅰ. 서언 97
Ⅱ. 티벳사원의 나란다대학 전통 98
1. 나란다사와 삼예사 98
2. 삼예사의 논쟁과 역경의 연기 102
Ⅲ. 티벳불교의 특수성 103
1. 뵌교와의 습합 103
2. 티벳불교의 종파와 교육 105
3. 활불제도와 달라이라마 109
Ⅳ. 티벳불교의 역사에 나타난 과제 111
Ⅴ. 결어 115
ISSN12253154 (P)
ヒット数120
作成日2022.01.16
更新日期2022.01.1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270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