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懶翁의 無心學: ‘劒風’과‘喝風’의 화쟁과 회통=Frame of Musim in Naong :
著者 고영섭 (著)=Ko, Young-seop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9 n.0
出版年月日2004.12.30
ページ95 - 129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キーワード무심학; 무심선=Musimseon; 검풍; 할풍; 무심가용; 조견면목; 이익중생; 서왕가=Seo Wang Ga; profit living things; frame of Musim; the way of Geom; the way of Hal; Sudden & Musim; stare at face & eyes
抄録이 연구의 목적은 고려 말의 나옹 혜근(懶翁 慧勤, 1320~1376)의 무심학의 지형도를 밝혀내는 것이다. 깨달음을 얻은 뒤 그는 중국으로 건너가 11년간 유력하면서 평산(平山)과 지공(指空)에게 인가를 받고 검풍(劒風)과 할풍(喝風)을 전수받아 자기의 무심선풍(無心禪風)으로 확립시켰다. 그의 무심선은 중생을 이익되게 하고(衆生利益) 돈오무심하는 가풍이었으며(無心可用) 이 두 측면을 조견면목(照見面目)의 논리를 통해 확보되었다.
나옹은 ‘조견면목’의 매개항을 통해 ‘무심가용’의 도리와 ‘이익중생’의 가풍을 실현했다. 그는 지공의 검풍과 평산의 할풍을 계승하였다. 그리고 그는 그것을 자기 내면 속에서 숙성시키고 발효시켜 무심선풍으로 꽃피웠다.
나옹은 선사이면서도 대중을 맞이해서는 정토사상과 밀교사상까지도 원용하여 제접 교화하였다. 동시에 그는 가사 양식을 빌어 「서왕가」 등의 노래를 지어 보급함으로써 보다 많은 대중들과 교감의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우리는 나옹을 고려후기의 대표적 선사로서 평가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rearch is to throw light on a topographical map of frame of Musim of Naong Hyegeun(1320~1376) in the last term of Koryo Dynasty. After enlightenment, he established to Musimseon(無心禪) a style that was handed down to the way of Geom(劒風) and the way of Hal(喝風) from Pyungsan(平山) & Geegong(指空) for go over to Chinese traveling during eleven years. His Musim seon is to profit living things(利益衆生) and to the way of Sudden & Musim(頓悟無心), this two aspects secured for lead to theory of stare at face & eyes(照見面目).
Naong realized to reason of Sudden & Musim and to the way of profit living things with a medium of stare at face & eyes. He succeeded to the way of Geom(劒風) of Geegong and the way of Hal(喝風) of Pyungsan. And He made flowers opened the way of Musimseon to ferment and mature in his inside. In spite of as a seon priest master, Naong edificated to invoke Thought of Pureland and Esoteric Buddhism.
Simultaneously in the points opened the way of consensus for the mass of people with the spread of Seo Wang Ga(西往歌) to make a poem in borrow a mode of lyric lines, we can estimate as a representative seon priest master in the last term of Koryo Dynasty.
目次1. 화두 : 문제와 구상 95
2. 劒風과 喝風의 화회 101
3. 無心禪의 살림살이 112
4. 보림 : 정리와 과제 122
ISSN15980588 (P)
ヒット数165
作成日2022.03.18
更新日期2022.03.1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615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