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석가모니 붓다는 수정주의(修定主義)를 버렸는가=Did Sakyamuni Buddha throw away Meditative Practice
著者 조준호 (著)=Cho, Joon-ho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11 n.0
出版年月日2005.08.30
ページ193 - 238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불교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キーワード수정주의=修定主義; 선정주의=禪定主義; 삼매=三昧; 라마경=羅摩經; 유위법=有爲法; Meditative Practice; samādhi; Ariyapariyesana Sutta; saṅkhata dhamma
抄録「과연 석가모니 붓다는 수정주의(修定主義)를 버렸는가」 불교 수행의 거의 대부분은 선정 수행으로 짜여져 있다. 그러므로 모든 불교의 가르침은 선정론으로 귀결된다 할 정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불교학 관련의 책에서 ‘석가모니 붓다는 수정주의를 버렸다’라는 표현이 여기저기에 나타나있다. 심지어는 국내 불교학 연구의 중심 역할을 하는 동국대의 대표적인 불교 개론서조차 명백한 사실처럼 기술되어 있으며 계속해서 또다른 형태로 비약적인 주장이 재생산되어 있다. 본고는 이러한 주장의 연원이 일본학자에 있음을 밝히는 것과 함께 다시 이러한 잘못된 이해가 한국불교학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불교는 기본적으로 선정주의이고 수정주의이다. 경전의 어느 곳에서도 선정이나 수정 자체가 경시되어 쓰이거나 부정적인 함의로 쓰인 언급이나 맥락을 찾아볼 수 없다. 만약 ‘붓다가 수정주의를 버렸다’라고 한다면 더 이상 선정 수행을 닦지도 않았을 것이며 불교 수행 가운데 중심을 이루는 실천법으로 강조되지도 않았을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선정을 버린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없다. 단적인 예로 석가모니 붓다는 선정 수행을 통해 열반 해탈을 성취했고 여래의 본질로써 10력 가운데 하나인 선삼매력(禪三昧力)의 구족이나 반열반 시의 구차제정의 언급은 붓다의 마지막 삶까지 선정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붓다의 삶은 근본적으로 선정과의 분리할 수 없다. 교리적으로도 계 ․ 정 ․ 혜를 떠나 열반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삼학의 중심은 8정도의 정정진, 정념 그리고 정정으로 모두 수정(修定)이고, 반야바라밀 가운데 선정 바라밀도 이에 해당된다. 다시 선정주의와 수정주의는 ‘선정의 완성’을 의미하는 선정 바라밀이라는 말에서도 증명된다.
결론적으로 ‘석가모니 붓다가 수정주의를 버렸다’는 식의 잘못된 이해는 수정되어져야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선정수행의 경시는 물론 석가모니 붓다가 수정주의를 버렸다거나 하는 식의 주장은 있을 수 없다.

It can be said that almost all Buddhist practice consist of meditational system. That is why the Buddha's teaching is
simply teaching for meditation. However, several Buddhist works written by Koreans refer without hesitation that 'Sakyamuni Buddha throws away meditative practice'. It is very strange and ununderstandable. The extreme case is Introduction to Buddhism which published by Dongguk University also mentions about it as a certified theory. The University is regarded to be a center of Buddhist studies in Korea and this representative guide book has the influencing power. Many theories like that are continually reproduction on a progressive scale.
The aim of the present work is critically to review such understanding of Buddhist meditative practice. Moreover, the
work proves that such kind of wrong theory is derived from Japanese scholarship. In conclusion, theory of 'Sakyamuni Buddha throws away Meditative Practice' is undoubtedly misunderstanding and it is to be corrected. It again confirms that Buddhism has ground of high esteem of meditative practice.
目次Ⅰ. 들어가는 말 193
Ⅱ. 본론 195
1. ‘수정주의를 버렸다’는 주장의 뿌리 195
2. 국내 불교계 206
3. 붓다와 비구들의 하루 일과의 대부분은 선정수행 221
Ⅲ. 마치는 말 232
ISSN15980588 (P)
ヒット数95
作成日2022.03.19
更新日期2022.03.1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623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