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태허 불교개혁운동의 실천원리와 전개=The Principles and Development of Tai-xu's Reform of Chinese Buddhism
著者 양정연 (著)=Yang, Jeong-yeon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20 n.0
出版年月日2008.08.30
ページ461 - 496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강사
キーワード태허=太虛=Tai-xu; 인생불교=人生佛敎=Ren-sheng Fo-jiao; 인간불교=人間佛敎=Ren-jian Fo-jiao; 근대중국불교=Modern Chinese Buddhism,; 묘산흥학=廟産興學=Miao-chan xing-xue; 보살행=菩薩行=The Practices of Bodhisattva; Humanistic Buddhism
抄録태허의 ‘人生佛敎’는 보살도의 실천을 통한 인간사회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그는 사회와 불교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두 가지 다른 태도를 취한다.
하나는 내향적 태도로 외부 변화에 대한 적응의 입장이다. 이것은 사회 변화에 따라 그에 맞는 불교계의 변화가 이뤄져야 하는 것을 말한다.
또 다른 하나는 외향적 태도로 불교계가 주도적으로 외부 변화를 모색하는 입장이다. 이 입장은 중국이 당시 열강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는 점에서 오히려 외국의 지도자와 세계인을 교화시킴으로써 중국 사회와 불교의 안정을 도모하려던 태도이다.
불교는 인간 현실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중생구제라는 원래의 정신을 찾게 된다. 그리고 보살은 실천원리인 보살율의를 철저하게 受持하고 승격을 양성함으로써 사회를 개선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태허의 ‘인생불교’는 불교의 본질을 ‘지금’, ‘여기’인 인간 현실의 삶 속에서 찾으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Humanistic Buddhism that was preached by Venerable Tai-xu aims for improvement of human society. He has two different attitudes about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society and Buddhism: the introverted attitude and the extroverted attitude. The former is the case that Buddhist world should adapt itself to social change. The latter is the case that Buddhist world takes initiative to change the situation. This is the attitude that Tai-xu would enlighten the foreign leaders and seek the stabilization of society and Buddhism world because China was influenced by the World Powers at that time.
Buddhism recovers its original spirits of reliving all sentient beings by participating in human lives. Bodhisattva improves society by taking the Bodhisattva vows as the principles and cultivating the character of renuncient.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ai-xu's Humanistic Buddhism is the effort to find the nature of Buddhism in human lives 'here' and 'now'.
目次Ⅰ. 서론 461
Ⅱ. ‘人生佛敎’의 성립 463
1. ‘人生佛敎’의 배경 463
2. ‘人生佛敎’의 특징 466
3. 불교개혁의 기본강령 468
Ⅲ. 불교개혁의 규범 470
1. 보살계 사상 470
2. 보살학처 수립 475
Ⅳ. ‘人生佛敎’의 전개 478
1. 불교계의 개혁 478
2. 사회개혁의 전개 483
Ⅴ. 결론 487
ISSN15980588 (P)
ヒット数38
作成日2022.03.20
更新日期2022.03.2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632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