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한중일 삼국 근대불교의 민족의식에 대한 비교연구=A comparative study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modern Buddhism centered on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著者 원영상 (著)=Won, Yong-sang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21 n.0
出版年月日2008.12.30
ページ453 - 496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キーワード한중일 삼국=Three countries: Korea-China-Japan; 민족주의=Nationalism; 근대불교=Modern Buddhism; 메이지(明治) 유신; 사회진화론=Darwinism; 한용운=Han Yong-Un; 이노우에 엔료=井上円了=Inou Enryou; 장타이엔=章太炎=Jiang Taien
抄録본 논문은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근대불교의 민족의식을 비교연구한 것이다. 삼국의 근대는 서구과학문명을 비자발적으로 받아들이는 가운데 내부적으로는 봉건적 질서의 해체와 외부적으로는 반제국주의적인 입장에 서야하는 처지가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시차를 두고 삼국은 국민국가의 형성을 목표로 민족의식 형성에 대한 담론을 전개하게 되었다. 불교는 이 과정에서 어떻게 대응해 갔는가가 주요한 논점이다. 본론에서는 첫째, 민족국가의 형성과정에서 전통적인 불교가 주목받은 이유를, 둘째, 불교의 전통인식을 통해 드러나는 민족적 자각에 대해, 셋째, 자본주의의 침투 속에 이를 지탱한 사회진화론에 대한 불교의 입장과 민족의식의 발현에 대해 논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민족국가 의식의 형성과정에서 하부구조를 유지하고 있던 삼국의 불교에 있어 먼저 일본은 근대의 법난을 거치면서 국가주의로 경도되어가는 상황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한국은 식민지 상황에서 대항적 민족주의 의식형성의 과제를 떠맡게 되었으며, 중국 또한 민족국가 형성에 지식인들에 의한 불교의 재해석을 통해 불교민족주의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근대화의 경로는 다르지만 국민국가의 형성이라고 하는 근대의 과제를 떠안은 불교의 재발견이라고 하는 측면에서 지역적 편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treatise is to compare and study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modern Buddhism centered on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While these three countries reluctantly accept the western science civilization in the modern era, they were forced to disassemble the feudal system internally and embrace the anti-imperialism externally. In that spirit, the topic of discussion is made on how three countries had form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in pursuit of establishing the nation state. The focal point is how Buddhism had responded to this procedure.
The main subject discusses the followings : First, the reason why attention was drawn to the traditional Buddhism in the course of forming the nation state. Second, the national awakening that is unfolded by recognizing the tradition of Buddhism. Third, the stance that Buddhism had taken regarding the Social Darwinism that had supported this in the midst of capitalist invasion and the revelation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While Buddhism in three countries where the understructure was sustain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Japan made the participation voluntarily in the course of transforming to the nationalism after going through oppression of Buddhist Monks in modern period.
Korea was almost forced to hold itself responsible for formation of the confrontational national consciousness during colonial status. As for China, Buddhist nationalism was formed through reinterpretation of Buddhism by the elites on the formation of the nation state. The course they took for modernization was all different; however, regional gap can be found in light of rediscovery of Buddhism that had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assignments called by the modern period.
目次1. 시작하는 말 453
2. 한중일 삼국 불교의 근대적 상황 456
3. 한중일 삼국의 근대불교와 민족의식 462
4. 맺음말 488
ISSN15980588 (P)
ヒット数94
作成日2022.03.20
更新日期2022.03.2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634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