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근대 합리주의 인간관의 유입과 佛性論의 재조명 -- 梁啟超와 韓龍雲의 佛性論 이해를 중심으로=Introduction of the Modern Rationalistic View of Human Beings and the Revisiting of the Foxing lun 佛性論 -- Focusing on Liang Qichao 梁啓超 and Han Yong-un’s 韓龍雲Understainding of the Foxing lun
著者 김진무 (著)=Kim, Jin-moo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29 n.0
出版年月日2011.08.30
ページ321 - 356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キーワード佛性論; 合理主義 人間觀; 梁啟超=Liang Qichao; 韓龍雲=Han Yong-un; 『飮氷室文集』= Yin bing shi wen ji; 『朝鮮佛敎維新論』=Work on the Revitalization of Joseon Buddhism; Foxing lun=佛性論; rationalism; view of human beings
抄録동아시아불교의 전통에 있어서 佛性論은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이면서 또한 근저에 자리 잡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아시아 佛性論의 전개는 불교가 발원한 인도불교와는 상당한 차별을 지닌 개념으로서 전개되어진 것이 사실이다. 사실상 중국불교의 형성기는 바로 ‘佛性論’의 완성을 위한 모든 역량을 집중한 시기라고 표현할 수 있을 정도이고, 이러한 중국불교의 과정은 거의 시간의 간격이 없이 韓․日의 양국과 그 궤적을 함께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후 동아시아 불교의 전개는 바로 이 ‘佛性’을 어떻게 적용하고 해석하는가 하는 점으로부터 새로운 교의가 제시되었고, 그에 따라 각 종파가 출현했다고 할 수 있을 만큼 동아시아불교에 있어서 佛性論은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동아시아 전통의 佛性論은 근대시기에 서구 열강의 침탈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중국에 있어서는 서구침탈에 대한 대응의 하나로서 이른바 ‘中體西用論’을 제시하였는데, 중국의 전통에 근거하여 발달한 서구의 과학기술과 사상 등을 攝受하여 國難을 극복하자는 것이다. 中體西用論에 바탕을 두고 서구의 문물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서구 근대철학 역시 다양하게 소개되었고, 그 가운데 근대의 합리주의 인간관이라고 할 수 있는 측면도 또한 함께 수용되었고, 그에 따라 전통적인 佛性論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겠다.
本稿에서는 합리주의 인간관의 대표로서 근대 대표적인 서양철학자인 칸트에 대한 梁啟超의 이해를 중심으로 그 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한국에 있어서는 梁啟超의 영향을 직접 받은 韓龍雲의 대표적인 저술인 『朝鮮佛敎維新論』에 나타난 칸트의 논술과 佛性論의 재인식을 고찰하였다.
동아시아불교의 佛性論은 이미 中世에 더 이상 나아갈 수 없는 ‘抽象本體’를 완성하였기에 오히려 서구 근대철학이 동아시아 佛性論에 미치지 못함을 분명하게 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했다고 하겠다. 나아가 이로부터 근대시기에 서구철학이 전체적인 동아시아불교를 보다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따라서 근대 합리주의 인간관은 분명하게 佛性論을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가져왔고, 이를 통해 서구철학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본적인 틀을 갖게 하였으며, 이는 서구의 침탈 가운데 동아시아 전통사상에 자부심을 담보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였다고 하겠다.

As for the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Foxing lun 佛性論, or the theory of Buddha-nature, is regarded the most fundamental starting point and the essence of Buddhism. In reality, the treatise on foxing in East Asian Buddhism has been unfolded as a concept considerably differentiated from Indian Buddhism, viz. the origin of Buddhism itself. As a matter of fact, the formative period of Chinese Buddhism could be described as that in which all the capacities of it were put into for the completion of this idea of Buddha-nature. Such a progress made in the field of foxing lun in Chinese Buddhism was transmitted to the Korean and Japanese counterpart almost without any temporal gap. Afterwards, East Asian Buddhism came to present new principles and gave rise to various denominations as a result of applying and interpreting such theory in a different perspective. Hence, the significance of the foxing lun in East Asian Buddhism.
The foxing lun in East Asian tradition is revisited during its response to modern infringements by Western powers. As one of the responses against the pillage by the West the Chinese presented so called zhōngti xiyong lùn 中體西用論, or the theory of China as the essence and the West as the function, which aimed at overcoming national hardship by assimilating and accepting the advanced western technologies and philosophies on the basis of the Chinese tradition. In the course of doing so modern western philosophies were also imported, accompanied by modern rationalistic view of human beings. Accordingly such modern thoughts provided the opportunities to reexamine the traditional theory of Buddha-nature.
This article investigated such revisiting process while focusing on Liang Qichao’s understanding of I. Kant, modern-day Western philosopher representative of the rationalistic view of human beings. In addition, it also examined Kant’s discourse and theory of foxing lun as reappraised in the Work on the Revitalization of Joseon Buddhism 『朝鮮佛敎維新論』 by Han Yongun, who was directly influenced by Liang.
East Asian Buddhist foxing lun can be said to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to clearly recognize that the foxing lun was above the modern Western philosophy as the former had already completed the ‘absolute substance’ of an unsurpassed quality in the middle age. Furthermore, it can be assessed as having presented the opportunity for modern Western philosophy to understand the whole of East Asian Buddhism in a new way. Therefore, modern rationalistic view of human beings caused a definite new understanding of the foxing lun, which enabled Western philosophy to prepare for the basic framework that could surmount the limitations of Western philosophy. Thus even in the period of invasions by Western powers,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provided a source of pride for t
目次Ⅰ. 緖言 324
Ⅱ. 中國佛性論의 展開 325
Ⅲ. 梁啟超의 칸트 이해를 통한 佛性論 재조명 332
Ⅳ. 韓龍雲의 佛性論 이해 343
Ⅴ. 結語 350
ISSN15980588 (P)
ヒット数127
作成日2022.03.31
更新日期2022.04.0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708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