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한국근대불교에 있어서의 불타담론 -- 불타의 생애를 중심으로=The views of Buddha in modern korean buddhism -- focused on the life of Buddha
著者 정영식 (著)=Jeong, Yeong-shik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29 n.0
出版年月日2011.08.30
ページ293 - 320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キーワード불타관=the view of Buddha; 석존일대가=Seokjonildaega; 세존일대긔=Sejonildaegi; 불타의 생애=the life of Buddha; 근대불교=modern buddhism
抄録1920, 30년대에는 근대이전의 신비적인 불타관이 지양되고 합리성을 추구하는 근대적인 불타관이 등장하게 된다. 그것은 1.인간으로서의 불타 2.철학자로서의 불타 3.시대적, 역사적 존재로서의 불타로서 형상화된다. 이상의 측면을 불타의 생애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인간으로서의 불타>에서는 종래의 前生譚이나 降兜率부분이 생략되거나 축약되는 대신 ‘불타는 정반왕과 마야부인이라는 인간의 자식’임을 주장하고, ‘야소다라와의 부부간의 사랑’을 강조하게 된다. <철학자로서의 불타>에서는 외도의 교화과정에 대해서 종래의 불전에서는 불타의 신통력으로 외도를 교화하는 데 비해서 ‘설법’으로 교화함을 강조하고 설법내용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이것은 신이성의 배제라는 근대불교학의 성격과 관계되지만, ‘불교교리의 정확한 전달’이라는 목적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시대적, 역사적 존재로서의 불타>에서는 당시의 유물론,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불타는 기원전 5세기의 인도라는 시간적, 공간적 환경의 산물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근대적 불타관은 2가지의 배경이 있다. 첫째는 1920, 30년대에 제기된 반종교운동 등의 영향으로 불교가 자신을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요, 또 하나는 일본근대불교학의 수입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In 1920, 30 periods, while superstitious view of Buddha was rejected, modern view of Buddha that pursuits rationality is appeared. That takes shape Buddha as human, Buddha as philosopher and Buddha as historical being. Firstly instead that the story of Buddha's former life is omitted, the fact that Buddha is the son of person is emphasized and the love between Buddha and Yasodara is pointed. Secondly while non-buddhist was converted by supernatural power of Buddha in early biography of Buddha, the historical fact that they were converted by 'teaching' of Buddha is emphasized and the teaching of Buddha is described in detail. Thirdly that Buddha was the being be born under circumstances of B.C. 5century India is pointed. Modern views of the Buddha have two backgrounds. Firstly that is suggested against Christianity and anti-religion movement in 1920, 30 periods. Secondly that is appeared by an inflow of japanese modern buddhist studies.

目次Ⅰ. 서론 295
Ⅱ. 본론 296
1. 근대이전의 불타관 296
2. 근대적 불타관의 수용 298
Ⅲ. 결론 316
ISSN15980588 (P)
ヒット数50
作成日2022.03.31
更新日期2022.04.0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7092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