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불교 임종교육과 임종행의 검토 -- 印光의 「臨終三大要」를 중심으로=On the Death and Dying Education of Buddhism and Buddhist Rituals -- Focused on Three Essential Points for Dying Written by Yin Guang
著者 양정연 (著)=Yang, Jeong-yeon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36 n.0
出版年月日2013.12.30
ページ493 - 518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한림대학교 생사학 HK연구소, HK조교수
キーワード죽음교육=Death and Dying Education; 불교 임종행의=Death Ritual of Buddhism; 인광=印光=Yin Guang; 임종삼대요=臨終三大要=Three Essential Points for Dying=Lin-zhong San Da-yao; 정토=Pure Land; 염불=Reciting Buddha’s Name; 조념=助念=The Guided Reciting Buddha’s Name for the Dying
抄録「臨終三大要」는 임종자의 안위와 올바른 믿음의 생기, 조념염불을 통한 염불심의 도움, 그리고 임종자가 죽음을 맞이했을 때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임종교육 지침서이다.
임종과정에서는 그동안 익숙해져 있던 선이나 불선의 행위가 임종자의 마음에 강하게 자리잡는다. 임종자가 선한 마음을 떠올리며 죽을 때는 안락한 죽음을 맞이하게 되고, 불선의 마음을 떠올리게 될 때는 고뇌하며 극심한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 기력이 쇠락한 임종자의 경우는 익숙했던 업들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고 마음은 그쪽으로만 치우치게 된다. 이때 왕생조념이 필요하게 된다.
정토신앙을 바탕으로 제시된 「臨終三大要」에서는 임종자의 마음을 온전히 염불에 두고 정토세계로 왕생하는 데 집중하도록 한다. 염불을 한다는 것은 아미타불의 서원과 구제력을 믿는 것이다. 따라서 염불자의 자력과 아미타불의 타력이 화합하여 정토왕생의 구제가 가능하게 된다.
불교의 임종교육은 불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임종자와 가족, 친척들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수용 태도, 임종과정에서의 구체적인 행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臨終三大要」는 정토신앙을 바탕으로 마지막까지 구제의 가능성을 확장함으로써 임종자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 모두가 종교적인 성스러운 임종행의에 참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임종자뿐만 아니라 가족 모두가 죽음은 생명의 한 과정이며 다음 세계를 결정짓는 삶의 마지막 순간이라는 점을 체득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臨終三大要」는 보다 효과적인 불교의 임종교육과 행의를 모색하는 데 중요한 방향과 가르침을 제공하고 있다.

Three Essential Points for Dying(Lin-zhong San Da-yao) is a guide to death and dying education which suggests how to comfort a dying person, bring forth right belief, help him or her recite Buddha’s name together, and treat the dying person.
The good or bad deeds remain strong in the mind of the person in the dying process. If he calls the good deeds to mind when he is near his end, he will die a peaceful death. If he calls the bad deeds to mind, he will die a painful death. The dying person who loses the vigor is seriously affected by the deeds. Helping him recite Buddha’s name together is needed at this moment.
The guidebook emphasizes that the dying person should concentrate his mind on recitation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Reciting Buddha’s name is believing in Amitabha’s long-cherished wishes and the power for the salvation of all creatures. Thus, rebirth in the Buddha Land is possible when Other-power of Amitabha and Self-power of prayer coincide.
The death and dying education of Buddhism should include the attitudes about death of a dying person and the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relatives and the specific rituals in the dying process. The guidebook helps the dying person overcome the fear of mortality by expanding the possibilities of salvation based on the faith in the Pure Land until the last moment and suggests how for the family members to join the religious or sacred death rituals. During the rituals, the dying person and the family realize that death is a process of life and the last moment of this life which determines next life. In this point of view, we can obtain important lessons and find the way from the guidebook for making the death and dying education of Buddhism and Buddhist rituals more practical.
目次국문 초록 493
Ⅰ. 논의제기 495
Ⅱ. 임종과 염불왕생 496
Ⅲ. 임종교육의 내용과 행의 501
1. 임종자의 안위와 바른 믿음 501
2. 조념염불의 행의 504
3. 임종행의 509
Ⅳ. 맺음말 513
Abstract 515
참고문헌 517
ISSN15980588 (P)
ヒット数51
作成日2022.05.06
更新日期2022.05.0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956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