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임제선(臨濟禪)의 ‘사빈주(四賓主)’에 나타난 선상담의 기제(機制)=The Mechanism of Seon Counseling in ‘SiBinZhu’ by Linji Seon
著者 김진무 (著)=Kim, Jin-moo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59 n.0
出版年月日2021.08.30
ページ5 - 27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원광대학교 강사
キーワード조사선=祖師禪=Patriarchal Seon; 임제종=臨濟宗=Linji school; 제접법=提接法=Enlightenment Approach; 사빈주=四賓主=SiBinZhu; 사료간=四料簡=SiLiaoJian
抄録본 연구는 중국에서 출현한 조사선(祖師禪) 가운데 임제선(臨濟禪)의 ‘사빈주(四賓主)’에 나타난 상담심리의 기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종에서는 일반적으로는 학인이 선지식(善知識)을 참알(參謁)하고 직접 대면하여 그를 깨달음으로 이끌어 주는 방식이 가장정통적이다. 이러한 방식을 선종에서는 ‘제접법(提接法)’이라고 칭한다. 선종에서 사용하는 ‘제접’의 방식을 다른 측면으로 보자면 바로 일종의 ‘상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상담은 학인을 ‘깨달음’으로 이끌어 주는 ‘목표지향적(goal oriented)’인 상담이다.
‘사빈주’는 ‘빈간주(賓看主), 주간빈(主看賓), 주간주(主看主), 빈간빈(賓看賓)’의 네 가지인데, 선사와 학인이 ‘주인[主]’과 ‘손님[賓]’으로 나누어 서로의 심리를 교차하는 방식이다. 어떤 때는 선사가 주인이 되어 학인을 손님으로 응대하고, 어떤 때는 학인이 주인의 역할을 하여 선사를 대하는 등 각각의 상황에 맞게 자유롭게 주빈이 교차하여 깨달음으로 이끌어가는 것은 바로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담을 진행함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사빈주’에서 도출되는 선심리학에 있어서 상담의 기제(機制)는 불교심리학에서 상담의기제로 설정하는 ‘열림’과 ‘제거’의 방식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빈주’에서는 보다 직접적인 ‘대면’을 중시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이를통하여 상담자와 내담자의 자유로운 호용(互用)을 통한 ‘역할극’으로의 활용이 더욱 두드러진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chanism of counseling psychology in‘Sabinju’ by Linji Seon among the Patriarchal Seon that emerged in China. In Seon Buddhism, in general, the most orthodox method is the way that scholars confront them and lead them to enlightenment. This method is referred to as ‘Enlightenment Approach (提接法)’. in Seon School. If we look at the method of ‘Enlightenment Approach’ used in the Seon School, it can be referred to as a kind of ‘counseling’. Such counseling is a “goal oriented” counseling that leads scholars to “enlightenment”.
‘SiBinZhu’ is the four types of ‘BinkanZhu(賓看主), ZhuKanBin(主看賓), ZhuKanZhu(主看賓), BinKanBin(賓看賓)’. This is a method of crossing each other’s mind by dividing it into ‘master’ and ‘guest’. Sometimes the Seon Master acts as the owner and treats the scholar as a guest, and sometimes the scholar acts as the master to treat the Seon Master. It can be said that it is quite similar to the counselor and client counseling that the guest can freely cross each other and lead to enlightenment.
In Seon psychology derived from “SiBinZhu”, the mechanism of counseling can be said to be the same as the methods of “opening” and “removing” that Buddhist psychology sets as the mechanism of counseling. However, in ‘SiBinZhu’, more direct ‘face to face’ is emphasized, so it can be used in a wider variety. In particular, through this, the use of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as a “role play” through free favor is more remarkable.

目次국문초록 5
Ⅰ. 서언(緖言) 6
Ⅱ. 조사선의 제접법(提接法) 출현 7
Ⅲ. 임제선의 ‘사빈주’와 선상담의 기제 13
Ⅳ. 결어(結語) 21
참고문헌 24
Abstract 26
ISSN15980588 (P)
ヒット数662
作成日2022.06.05
更新日期2022.06.0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179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