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코로나19 시대, 선불교는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 법계(法界), 안심(安心), 사회적 마음챙김을 중심으로=What are the Meanings of Seon Buddhism in The Era of Covid-19 -- Focussed on Dharma dhātu, A peaceful or stable mind, Social Mindfulness
著者 오용석 (著)=Oh, Yong-suk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59 n.0
出版年月日2021.08.30
ページ117 - 151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キーワード코로나19=Covid-19; 선불교=Seon Buddhism; 법계=法界=Dharma dh tu; 안심=安心=a peaceful or stable mind; 사회적 마음챙김=social mindfulness
抄録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선불교가 갖는 의미를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첫째는 현상적인 관점에서 코로나19가 갖는 의미를 감염과 연결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선불교적 관점에서 모든 존재는 법계의 상호관계성을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선불교에서는 이러한 법계를 평상심을 통해 구체적이며 역동적인 모습으로 표상한다. 둘째는 심리적 관점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불안의 문제를 선불교의 안심을 통해 논의하였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불안, 두려움, 분노 등이 급증한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인간 실존의 단면으로서 늘 존재하였다. 선불교에는 이러한 근원적 불안을 ‘안심’을 통해 치유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는 코로나19 시대에 선불교가 가진 주관주의의 문제를 해체하는 방법으로 ‘사회적 마음챙김’을 제안하였다. ‘사회적 마음챙김’이라는 개념은 로널드 퍼서(Ronald Purser)가 기존 마음챙김 담론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강조한 것이다. 사회적 마음챙김은 주관주의의 문제를 극복할 뿐 아니라 사회적 참여와 실천을 중시한다. 현재 코로나19의 상황에서 선불교 역시 사회적 마음챙김이 가진 의미를 통해 선불교의 고유한 역사적 지향점과 가치 그리고 삶의 방식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of Seon Buddhism for us living in the era of COVID-19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I discussed the meaning of COVID-19 from a phenomenal point of view in terms of infection and conn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on Buddhism, all beings do not deviate from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Dharma dh tu. In Seon Buddhism, in particular, this Dharma dh tu is represented in a concrete and dynamic form through a One’s original mind. Second,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he issue of anxiety caused by COVID-19 was discussed through a peaceful or stable mind of Seon Buddhism. It is true that anxiety, fear, and anger have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current COVID-19, but these negative emotions have always existed as a cross-section of human existence. Seon Buddhism suggested a way to heal this fundamental anxiety through ‘a peaceful or stable mind’. Third, ‘social mindfulness’ was proposed as a way to dismantle the problem of subjectivism of Seon Buddhism in the era of COVID-19. The concept of ‘social mindfulness’ was emphasized by Ronald Purser as an alternative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indfulness discourse. Social mindfulness not only overcomes the problem of subjectivism, but also emphasizes social participation and practice. In the current situation of COVID-19, Seon Buddhism will also need to recover the unique historical direction, value, and way of life of Seon Buddhism through the meaning of social mindfulness.
目次국문초록 117
Ⅰ. 들어가는 말 118
Ⅱ. 감염과 연결 그리고 선불교의 법계(法界) 121
Ⅲ. 코로나19로 인한 불안과 선불교의 안심(安心) 129
Ⅳ. 코로나19 시대, 선불교와 ‘사회적 마음챙김’ 139
Ⅴ. 나가는 말 144
참고문헌 147
Abstract 150
ISSN15980588 (P)
ヒット数78
作成日2022.06.05
更新日期2022.06.0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179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