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僧肇의 ‘非有非無’ 論證과 그 意義=SengZhao's Demonstration on FeiY ouFeiW u(非有非無) and Its Significance
著者 김진무 (著)=Kim, Jin-moo (au.)
掲載誌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巻号v.2 n.0
出版年月日2007.06
ページ1 - 48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サイト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キーワード승조=僧肇=SengZhao; 중국반야학=中國般若學=Chines Prajña thought; 비유비무=非有非無=FeiYouFeiWu; 조론=肇論=ZhaoLun; 현학=玄學; 격의불교=格義佛敎=GeYiFoJiao
抄録본 논문은 僧肇의 ‘非有非無’와 관련된 論證을 고찰하였다. ‘非有非無’는 유명한 般若學의 논리인 ‘四句百非’의 ‘四句’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승조가 활동하던 魏晋에서 南北朝로 전환되는 시기는 玄學이 주된 思潮였다. 玄學에서 다루는 수많은 철학적 논의 가운데 가장 핵심이면서 그 근저에 있는 주제는 바로 ‘有無之辨’이다. 실제적으로 玄學의 대체적 발전 과정은 何晏․王弼의 ‘貴無論’의 출현과 그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裴頠의 ‘崇有論’, 그리고 그 둘을 철저히 止揚하여 나타난 郭象의 ‘獨化論’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모두 有․無를 둘러싼 철학적 논의로부터 나타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時代思潮의 영향으로 般若學을 대상으로 玄學化된 格義佛敎가 출현한다. 玄學과 格義佛敎를 모두 겨냥한 것이 바로 ‘非有非無’의 논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有․無’의 문제는 儒․佛․道 三敎의 사상 가운데 가장 심층적인 철학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승조가 논증한 ‘非有非無’는 儒․佛․道 三敎의 핵심적인 문제에 있어서 모두 관련되어 있다고 하겠다. 그에 따라 승조와 그의 󰡔肇論󰡕은 당시뿐만 아니라 역대로 지속적인 관심과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더욱이 승조가 제시한 ‘觸事而眞’, ‘體用不二’ 등의 수많은 핵심적인 개념들은 보다 구체적으로 儒․道 兩家와 불교의 諸宗派에 끊임없이 영향을 미치고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개념들의 근저는 바로 ‘非有非無’에 대한 논증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승조가 후세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면, 그 원인을 무엇보다도 ‘非有非無’의 論證에 두어야 할 것이다.

SengZhao, the disciple of Kumārajīva, succeeded to the idea of Kumārajīva and accomplished Chines Prajña thought. He was interested in the philosophical issues of Xuanxue(玄學) and finally solved the problem of YouWu(有無), which was the most significant one in the philosophy of Xuanxue by the logic of FeiYouFeiWu. In his work, ZhaoLun(肇論),
we can recognize that a great deal of phrases are quoted from LaoZi(老子) and ZhuangZi(莊子). Hence, the thought of SengZhao can be considered as the result which is produced by the unification of the Prajña thought in India and the Lao-Zhuang thought in China.
The issue of YouWu was the most significant one among the three philosophical systems, namel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SengZha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the philosophical issue. Therefore, SengZhao and his work, ZhaoLun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ost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philosophies in China. The crucial notions of ChuShiErZhen(觸事而眞) and TiYongBuEr(體用不二) etc. which were used by SengZhao, have incessantly influenced sects of Buddhism and both Confucianism and Taoism but the basis of these concepts is placed under the notion of YouWu. It can be said that if SengZhao played a great role in understanding Buddhism, that was because of the notion of YouWu which was solved by SengZhao.
In addition, the period of GeYiFoJiao(格義佛敎) terminated when SengZhao criticized the three views of BunWu(本無), XinWu(心無), and JiSe(卽色) and Buddhism came to be studied through its own terms. The disappearance of GeYiFoJiao made Xuanxue declined in China and Buddhism dominated throughout the period of Southen-Northern dynasties in China. This is the significance which the demonstration of FeiYouFeiWu(非有非無) plays a role in the history of thoughts in China.
目次Ⅰ. 緖言 2
Ⅱ. 玄學의 전개와 中國佛敎의 흐름 3
1. 玄學의 출현과 그 전개 3
2. 佛敎의 玄學化와 ‘格義佛敎’ 11
Ⅲ. 僧肇의 般若思想과 ‘非有非無’의 論證 18
1. 鳩摩羅什의 中觀般若學 18
2. 僧肇의 般若思想 23
3. ‘非有非無’의 論證 29
4. 僧肇의 格義佛敎 비판 34
Ⅳ. 結 語: ‘非有非無’ 論證의 意義 43
ISSN1975857X (P); 26715708 (E)
ヒット数88
作成日2022.06.12
更新日期2022.06.1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222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