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스리랑카 불교 영웅 둣타가마니 왕의 무용담에 대한 문헌학적 접근 -- 테라와다 불교에서 성전은 용인되는가?=A Philological Approach to the Saga of Sinhalese Buddhist Hero Duṭṭhagāmaṇī: Is the Crusade justified in Theravāda Buddhism?
著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掲載誌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巻号v.19 n.0 개원10주년 특집
出版年月日2015.12
ページ43 - 79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サイト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강사
キーワード싱할라 불교 민족주의; 둣타가마니=Duṭṭhagāmaṇī; 엘라라=Eḷāra; 디빠왐사=Dīpavaṃsa; 마하왐사=Mahāvaṃsa; 성전=聖戰=dharma-yuddha=Holy war; 정의로운 군주=dhammika-dhammarāja=Righteous Buddhist King; 역사적 리얼리즘 Sinhala Buddhist Nationalism=Historical Realism; Duṭṭhagāmaṇī
抄録본 논문은 서기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에 쓰인 <마하왐사(Mahāvaṃsa)>에 나오는 둣타가마니(Duṭṭhagāmaṇī)의 무용담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을 통하여 테라와다불교에서 성전(聖戰, dharma - yuddha)의 용인 여부를 탐구한다. 둣타가마니는 남인도에서 침략해온 타밀의 장군인 엘라라(Eḷāra)를 무찔렀기 때문에 오늘날 스리랑카에서 국가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둣타가마니는 왕국의 즐거움을 위해서가 아니라 불교의 보호를 위해서 싸웠다고 전한다. 비구들은 환속하고서 <마하왐사>가 성전처럼 묘사하는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군대에 들어갔다고 전한다. 그래서 오늘날 싱할라 불교 민족주의자들은 불교의 수호를 위해서 폭력에 호소하는 것은 교리적으로 모순되지 않는다고 보아 왔다. 하지만 당시에 싱할라와 타밀은 모두 압도적으로 불교도였기 때문에 둣타가마니의 무용담은 불교적으로 아무런 의미가 없다. 아라한들이 둣타가마니를 방문한 이야기는 <마하왐사>에서 악명 높은 에피소드이다. 승리한 둣타가마니는 전쟁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인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었지만, 오직 한명과 반명의 사람만을 죽였을 뿐이라는 여덟 아라한들의 말에 위안을받는다. 이러한 특수한 언설은 붓다의 이름으로 살생을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라일종의 립 서비스(lip service)나 선교방편(善巧方便, upāya - kauśalya)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빨리 성전에 십자군 전쟁과 성전이란 개념은 없다. 불교는 전쟁과 충돌은 불선(pāpa)이며, 충돌, 논쟁, 말다툼, 전쟁에 휘말리려는 보편적 성향을 벗어나는방법을 가르친다. 하지만 근현대의 민족 간 충돌에서 뿐만 아니라 스리랑카의 초기역사에서 둣타가마니가 선포한 전쟁 모토만이 부각되고 정의로운 군주 즉 담미까담마라자(dhammika - dhammarāja)의 진정한 의미가 간과되었음은 유감스러운 일이다. 둣타가마니 왕의 무용담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는 오늘의 사회와 과거의 사회간의 긴밀한 대화가 시작되는데 이바지하고 한때 신앙에서 형제였던 싱할라와 타밀간의 관계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럴 때에만 비로소 처음부터 불교 문화와문명에서 가장 소중한 이상들 가운데 하나였던 관용과 이해의 정신이 복원될 것이며 싱할라 불교민족주의는 세계동포주의로 승화될 것이다.

The present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crusade justified in Theravāda Buddhism through a philological approach to the saga of Duṭṭhagāmaṇī in the Mahāvaṃsa, one of the traditional Sinhalese chronicles dating to the fifth or sixth century A.D. King Duṭṭhagāmaṇī is regarded as a national hero in Sri Lanka for defeating the Tamil general Eḷāra who had invaded the island from South India. He is said to have fought not for the joy of sovereignty, but for the protection of Buddhism. Monks disrobed and joined the army to fight in what the Mahāvaṃsa depicts as a holy war. Therefore, Sinhala Buddhist nationalists in modern times do not have seen any contradiction in advocating war for the purpose of safeguarding Buddhism. However, the sage of Duṭṭhagāmaṇī is of no significance for Buddhism because both Sinhalese and Tamils were overwhelmingly Buddhists. The story of the arhats’ visit to Duṭṭhagāmaṇī is the infamous episode in the Mahāvaṃsa in which the victorious Duṭṭhagāmaṇī is filled with remorse at the number of people he has killed in the war, but is reassured by arhats that he in fact only killed one and a half people. This unusual statement should not interpreted as a justification for killing in the name of the Buddha but as a kind of lip - service or an instance of skill-in-means (upāya - kauśalya). There is no such concept as crusade and holy war in Pāli canon. Buddhism considers war and conflict as evil (pāpa) and teaches how an individual could transcend the universal tendency to engage in conflicts, debates, disputes and wars. It is unfortunate that Duṭṭhagāmaṇī’s war moto alone has been highlighted and the true meaning of dhammika dhammarāja has been overlooked in the early period of Sri Lankan history as well as in the ongoing ethnic conflicts.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sage of King Duṭṭhagāmaṇī would initiate a closer dialogue between the society of today and that of yesterday and restor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inhalese and Tamils who were once brothers in the faith. Only by doing so, the spirit of tolerance and understanding which has been from the outset one of the most cherished ideals of Buddhist culture and civilization will be restored, and Sinhalese Buddhist nationalism can be transformed into Universal brotherhood.

目次Ⅰ. 들어가는 말 45
Ⅱ. 정의로운 군주란 무엇인가? 47
Ⅲ. 둣타가마니 왕의 전쟁은 성전(聖戰)이었나? 55
Ⅳ. 엘라라와 타밀이 이교도라는 등식은 옳은가? 60
V. 둣타가마니 왕의 고뇌와 여덟 아라한들의 조언은 사실이었나? 65
Ⅵ. 나가는 말 70
ISSN1975857X (P); 26715708 (E)
ヒット数60
作成日2022.07.23
更新日期2022.07.2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602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