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유식학파의 시간론=Yogācāra School's Theory of Time
著者 이은영 (著)=Lee, Eun-young (au.)
掲載誌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巻号v.23 n.0 개원10주년 특집
出版年月日2017.12
ページ7 - 40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サイト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경희대학교 강사
キーワード유식학파=Yogācāra school; 아뢰야식=the Storage consciousness=ālaya-vijñāna; 시간=Time; 무상=Impermanence; 고통=Suffering; 종자=Seed=bīja
抄録본 논문은 유식학파의 시간론을 논한다. 불교는 시간을 실체적인 것으로 보지 않으며, 제행의 무상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라고 본다. 유식학파는 행의 무상을식의 전변으로, 연기를 아뢰야식 내의 종자와 현행, 종자와 종자 간의 인과관계로 해석한다. 과거와 미래는 범부가 생각한 의미로든, 삼세실유를 주장하는 설일체유부가 생각한 의미로든 실재하지 않으며, 존재하는 것은 오직 현재 현행하고있는 표상과 그것을 일으킨 근거로서의 식뿐이다. 아뢰야식 내의 종자는 원인이되어 현행을 결과로 일으키고, 그 현행은 다시 원인이 되어 아뢰야식 내의 종자를결과로 훈습하지만 이 인과관계는 현재 한 순간에 동시적으로 맺는 것이다. 따라서 인과의 이치를 따져서 현행의 원인을 과거, 현행의 결과를 미래로 임시적으로지칭할 수는 있지만, 그에 대응하는 과거나 미래가 실재하는 것은 아니다. 언제나현재이지만 이것이 아무 변화 없이 멈춰진 현재가 아닌 것은 아뢰야식 내의 종자가 찰나적으로 생멸하면서 이어지기 때문이다. 식의 무상은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에 의한 그릇된 인식에 의해 시간으로 나타나고 고통을 초래하게 된다. 유식학파 입장에서 보면, 범부는 무지 때문에 실체적 자아와 실체적 법이 있다고착각하고, 이를 토대로 과거와 미래가 실재한다는 환상을 갖는다. 설일체유부는실체적 자아에 대한 환상은 없지만 과거법과 미래법도 실재한다는 환상을 갖고있다. 따라서 시간은 무상과 연기에 대한 그릇된 인식에 의해 나타난 망상(妄想) 이다.

In this paper, I explore the Yogācāra School's theory of time. Succeeding the buddhists, who consider time an illusion created by impermanent(anitya, 無常) phenomena(saṁskāra, 行), the Yogācāra School asserts that time is not a substance, but an illusion.
Yogācāra insists that the world we see is nothing but the manifested phenomena created by our consciousness. The impermanence of phenomena is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that results from the causal relation between a seed(bīja, 種子) and its manifestation(samudācāra, 現行), and also between seed and seed in the storage consciousness(ālaya - vijñāna, 阿賴耶識). Cause and effect in that relation coexist simultaneously, so there is neither past nor future; only the present is real.
Common people, however, believe that past and future are real, and Sarvāstivādin thinkers believe that past and future dharmas are real. Because they hold onto self and things. Time is a vague concept created by our consciousness, based on the imaginary self and dharma, which comes from our wrong understanding of impermanence. Therefore, to be free from time is not to be free from impermanence, but from wrong thinking.

目次Ⅰ. 서론 8
Ⅱ. 아뢰야식의 연속과 단절 10
Ⅲ. 식(識)의 변화 14
1. 표층의 무상 14
2. 표층과 심층의 관계 17
3. 심층의 무상 21
Ⅳ. 무상의 그릇된 인식과 고(苦) 24
1. 상상의 실아(實我)·실법(實法) 24
2. 무상의 그릇된 인식과 고통 26
3. 그릇된 인식과 고통의 원인 29
Ⅴ. 결론 34
ISSN1975857X (P); 26715708 (E)
ヒット数69
作成日2022.07.24
更新日期2022.07.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610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