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선불교의 음식과 맛에 대한 시각 -- 삼덕과 육미=The Viewpoint of Food and Tastes in Seon Buddhism: The Three Virtues and The Six Tastes
著者 공만식 (著)=Kong, Man-Shik (au.)
掲載誌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巻号v.25 n.0
出版年月日2018.12
ページ111 - 142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サイト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연구위원
キーワード팔공덕수=八功德水=the Water with the Eight Virtues; 삼덕=三德=the Three Virtues; 육미=六味=the Six Tastes; 담미=淡味=the Taste of Insipidity; 무미=無味=the Taste of Tastelessness
抄録삼덕과 육미는 불교 특히 선불교의 음식에 대한 내용과 시각에서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고 있는 술어들이다. 그러나 또한 대중적으로 알려진 그 만큼이나 내용적 오류가 여전히 전파되고 지속되고 있는 불교술어도 찾기 쉽지 않을 것이다.
본고의 일차적 목적은 선불교의 음식에 대한 내용과 시각을 담고 있는 삼덕과 육미의 내용을 올바르게 해명하고 그 관계들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물, 맛, 식재료는 실물음식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들이며 불교는 팔공덕수, 삼덕과 육미라는 개념을 통해 음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들의 내용과 그 관계들에 대한 불교의 시각과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불교 특히 선불교의 이들 세 가지 음식적 근본요소들을 이해함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는 것이 중국의 전통적인 음식적 사유와 개념들이다. 중국의 물에 대한 사유는 물이 가진 수용성 즉 그 중립성으로 인해 ‘맛의 근본’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다른 여타의 맛을 수용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담미(淡味) 혹은 무미(無味) 로 표현되어 왔다. 담미는 단순히 물리적인 맛을 지칭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인간의 정서와 마음의 상태를 안정케 하는 요소이자 그 의미의 확장에 의해 지배자의 이상적인 통치나 철학적으로 무위나 무사를 의미하는 도(道) 의 내용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물에 대한 사유를 담고 있는 불교의 팔공덕수의 개념은 물질적 존재로서 인간의 오관에 쾌적하고 육체를 유지, 장양케 하는 기능을 가지며 맛에 대한 조화의 매개로 언급된다. 육미 중 담미는 다른 다섯 가지 개별미와 다른 기능을 가진 개별미를 수용하여 조화미를 가능케 하는 기능을 가진 근본미로서 규정된다.
담미의 내용규정은 인도에서의 삽미라는 규정과는 다르게 중국적 담미의 내용을 수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삼덕은 불교의 식재료론이라 불리워질 수 있으며 인간의 오관에 쾌적하고 정결하며 불교적 음식금기를 준수한 식재료로 물과 맛의 조화를 통해 인간과 불보살게 공양할 수 있는 음식의 기준으로 규정된다.

The Three Virtues and the Six Tastes concerning food and are frequently mentioned in Buddhism in particular Seon Buddhism. However, the meanings of these two terms have been wrongly understood and circulated without correcting the meanings.
The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meanings and relations of the Three Virtues and the Six Tastes which have the contents and viewpoints of food in Seon Buddhism.
Water, taste and foodstuffs are fundamental factors in material food Traditional Chinese culinary thoughts and notions shed light on understanding water, taste and foodstuffs as the fundamental culinary factors in Seon Buddhism. The water in Chinese thought has been considered as the root of taste which accommodates the Five Tastes except the Tastelessness. The meaning of the Taste of Insipidity has been extended to the meaning of tranquility and peacefulness of mind, furthermore to ideal ruling politically and to ideal path philosophically.
The notion of the Water with Eight Virtues in Buddhism includes the functions which make people feel fresh in the five sense organs, maintain and grow up their bodies. Water is considered as the medium of harmony between tastes.
It is thought that The Six Tastes accommod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aste and harmonize the individuality of each taste. The Taste of Insipidity in Seon Buddhism accommodates traditional Chinese notion of the taste of tastelessness as contrasting the taste of astringent in Indian taste theory.
The Three Virtues of foodstuffs in Buddhism could be called Buddhist foodstuff theory and it is defined that the notion of the Three Virtues includes the feeling of freshness in the five sense organs, purity of foodstuffs and the preservation of Buddhist food prohibition which prevents consuming meat and pungent vegetables.

目次Ⅰ. 서언 113
Ⅱ. 중국 고대문헌의 ‘물 - 맛’에 대한 사고와 내용 114
Ⅲ. 불교문헌의 ‘물 - 맛 - 식재료’에 대한 사고와 내용 120
Ⅳ. 결어 136
ISSN1975857X (P); 26715708 (E)
DOI10.24956/SSC.25.4
ヒット数106
作成日2022.07.24
更新日期2022.07.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613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