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구미 대둔사(大芚寺)의 근대기 불화(佛畵) 연구=Study on Buddhist Paintings of the Early Modern Period at Daedun Temple in Gumi-City
著者 신광희 (著)=Shin, Kwang-hee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98 n.0
出版年月日2022.03
ページ115 - 139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연구교수
キーワード대둔사=Daedun Temple; 불화=Buddhist Paintings; 도상=Iconography; 화법; 고산축연=Kosandang Chukyun; 금명운제=Kummyeongdang Wunje; 초암세복=Choamdang Sebok; Style
抄録경상북도 구미시 대둔사(⼤芚寺)는 1920년에 〈석가설법도〉와 〈십육나한도〉, 〈치성광여래도〉, 〈독성도〉, 〈산신도〉를 제작, 봉안했다. 이 불화들은 기존의 연구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작품군으로, 필자는 본고를 통해 그 양상과 의미를 조명해 보았다. 대둔사 불화들은 ‘선행 도상(圖像)의 변용’ 혹은 ‘추가’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양화법(⻄洋畵法)도 구사되어 있다. 발원 시주자로는 상궁(尙宮)과 풍양조씨(豐壤趙氏) 일가 등 세도가(勢道家)와 비구니 스님들이 참여했다. 제작 화사(畵師)는 총 4인인데, 그중에서도 특히 고산축연(古山竺衍)과 금명운제(錦溟運⿑)가 주도적으로 그렸다. 화풍의 분석을 통해 볼 때, 축연이 〈십육나한도〉, 〈치성광여래도〉, 〈산신도〉를 주관했으며 운제는 〈석가설법도〉와 〈독성도〉를 주관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둔사의 불화 불사는 당시 이 절의 주지(住持)이자화주(化主)였던 초암세복(草庵世復)이 이끌었다. 그는 화승으로서 활약이 컸던 인물이기도한데, 그의 행적을 살펴본 결과, 기존에 그는 세도가들이 시주한 불화를 주로 제작했으며 축연 및 운제와도 화연(畵緣)이 깊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둔사 불화는 시주자의 모연(募緣)에서부터 불화의 제작에 이르기까지 모두 세복의 역할이 지대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종합해 볼 때, 1920년작 대둔사의 불화들은 당시 발원 시주자, 화사들의 동향과 제작 양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작품군이라고 판단된다.

Buddhist Paintings - including, Shakyamuni Preaching, The Sixteen Arhats of Engjinjeon Hall, Tejaprabha Buddha Preaching, Doksung, Solitary Saint, and Mountain Gods of Samsunggak Hall - were created in 1920 at Daedun Temple of Gumi-City, Kyungsangnamdo Province. They exhibit various characteristic stylistic features, such as the transformation and overlap of iconographies, addition and harmony of motifs, and realism through western painting style. Appreciated by the court ladies, Sanggung and Pungyang-jo Clan, and Buddhist nuns, the paintings were created by four monk artists. Among the painters, Chukyun (Kosandang) and Unje (Kummyungdang) were most prominent. Following analysis of the painting styles, it was determined that Chukyun painted the Sixteen Arhats, Tejaprabha Buddha Preaching, Sansin, the Mountain God and Unje painted Shakyamuni Preaching and Doksung, Solitary Saint. The Buddhist paintings of Daedun Temple were supervised by Sebok (Choamdang), the head of the temple and the overseer of this activity. Upon examining his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he produced Buddhist paintings commissioned by ruling classes, and that he had a deep relationship with Chukyun and Unje. The patrons and painters of the Daedunsa Buddhist paintings also confirmed that Sebok wa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ose who had previously interacted. The Buddhist paintings produced in 1920 in Daedun temple provid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trends of patrons and painters at that time. In addition, iconography and style also provide important insight into the production aspects of the time.
目次한글요약 116
Ⅰ. 머리말 117
Ⅱ. 불화의 현황과 화풍 117
Ⅲ. 발원 시주자와 제작자 124
Ⅵ. 초암세복과 대둔사 불화 129
Ⅴ. 맺음말 135
참고문헌 136
Abstract 138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22.3.98.115
ヒット数69
作成日2022.08.08
更新日期2022.08.0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691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