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고려시대 교장(敎藏)의 일본 교류와 유통=Exchange and distribution of Goryeo-gyojang in Japan during the Goryeo Dynasty
著者 박용진 (著)=Park, Yong-jin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92 n.0
出版年月日2020.09
ページ109 - 136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능인대학원대학교 조교수
キーワード고려교장=Goryo Gyojang=高麗敎藏; 의천=Uicheon=義天; 신편제종교장총록=Sinpyeonjejong-gyojangchongnok=新編諸宗敎藏總錄; 도다이지=東大寺=Dodaiji; 고잔지=高山寺=Gozanji; 의화=義和=Yihe; 송간본=Song Dynasty version=宋刊本
抄録본고는 고려 교장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중․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일본 불교계 교류와 유통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 활용한 자료는 조사보고인 『신편제종교장총록 : 수록문헌 총람』이며, 이 총람의 자료를 중심으로 일본 불교계에 유통되어 활용된 장소의 자료를 정리하고, 그 현상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코자 한다.
고려 교장의 일본 교류와 유통을 살펴보면, 고려와 일본은 공식적인 국교없이 주로 송상을 매개로 불교 교류가 이루어졌다. 고려 교장의 일본 전래의 특징은 대재부를 통한 송상 중개의 장소 교류였고, 전래 기록상으로는 1097년에 『아미타경통찬소』 등 법상종 장소류, 1103년 흥왕사 간행 교장 원간본 『화엄경수소연의초』의 필사, 1105년 『석마하연론통현초』와 『석마하연론찬현소』 등 밀교 장소류, 1120년의 『홍찬법화전』 등 불전 100여 권의 교류가 확인된다. 한편, 고려 교장의 송 중간본이 1140년을 전후하여 의화에 의해 간행되었고, 이러한 송나라 간행 장소류는 1254년 고잔지에서 송판대장경과 함께 수입되어 활용되었으며, 그 일부가 현전한다.
고려 교장의 일본 유통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래 경로에 있어, 고려 교장이 직접 전래된 사례와 고려 교장이 송으로 전래되어 송나라에서 중간된 판본이 일본으로 전래된 사례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고려 교장은 그 중요성 때문에 간사의 형태로 원본과 함께 14세기말까지 지속적으로 유통되었다. 둘째, 동아시아의 제국이 장소를 수입할 때 고려, 송, 일본 등은 각국에 없는 장소를 중심으로 자국에 보충하려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고려 교장의 동아시아 유통은 한문불교문화권에 있어 일방적 방향성을 갖는 것이 아닌 상호교류의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Buddhist commentaries (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 (高麗敎藏) gatherings and the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Goryeo- gyojang in Japan during the Goryeo Dynasty of Japanese Buddhist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Goryeo and Japan exchanged Buddhism mainly through Songshang (宋商) without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Goryeo-gyojang's (高麗敎藏)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to Japanese tradition are divided into four part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ion are exchanges of Hosso-shu (法相宗) commentaries such as Amituojing-tongzanshu (阿彌陀經通贊疏) in 1096, manuscripts from Huayanjing-Suishuyanyichao (華嚴經隨疏演義鈔) in 1103, esoteric commentaries such as Shi moheyanlun-tongxuanchao (釈摩訶衍論通玄鈔) in 1105, and commentaries such as HongChan-Beophwajeon (弘贊法華傳) in 1120. However, the Song Dynasty version (宋刊本) of Goryeo-gyojang was imported and used in Japan's GosanJI Temple (高山寺) in 1254.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gyojang's distribution in Japan are divided into those brought directly from Goryeo and the import of the Song Dynasty version (宋刊本) of Goryeo- gyojang. When countries in East Asia import Gyojang, each country can see the tendency to supplement Gyojang since it is not produced in its own country.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Goryeo-Gyojang in East Asia can provide a perspective of mutual, and not one-sided, exchange.
目次1. 머리말 111
2. 고려 교장의 일본 교류와 유통 112
3. 고려 교장 송 중간본(宋 重刊本)의 일본 교류와 유통 124
4. 맺음말 131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20.9.92.109
ヒット数111
作成日2022.08.14
更新日期2022.08.1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745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